매일신문

군 인권센터 "윤 대통령, 사건 초기부터 채 상병 유족 동향 보고받아"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이 20일 오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이 20일 오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채 상병 사건'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 시민단체가 지난해 수해 실종자 수색 작업 도중 급류에 휩쓸려 사망한 해병대 채수근 상병 사건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이 사건 초기부터 세부 상황을 보고받았다고 주장했다.

군 인권센터는 20일 서울 마포구 센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통령이 사건 초기 단계에서부터 유족 동향과 같은 상세한 보고를 받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국회의장은 국정조사를 결단하고 윤 대통령을 증언대에 세우라"고 촉구했다.

센터에 따르면,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은 채 상병 영결식 당일인 지난해 7월 22일 밤 유족 동향을 윤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은 오후 9시 14분 국가안보실에서 파견 근무 중인 해병대 A대령에게 '채 상벼 부모님이 전한 말'이라며 메시지를 보냈다. 메시지에는 "장관님께도 보고드렸고, V(대통령)께도 보고드렸다고 답장 주셨어"라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센터 측은 "윤 대통령은 사건에 대한 채 상병 부모님의 반응 등 매우 디테일한 부분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직접, 실시간으로 보고받을 만큼 사망 사건 처리 상황에 관심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유가족 심경까지 보고 받고 있던 윤 대통령이 사망 사건 수사결과 같이 중요한 사항을 보고받지 않았다는 얘기는 납득이 어려운 궤변"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해 8월 30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조태용 당시 국가안보실장은 "대통령께서 (사건 관련) 그런 디테일을 파악하실 만큼 한가하신 분도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채상병 사건 조사결과를 보고받은 적이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센터는 국방부가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기록이 경북경찰청으로 이첩된 지난해 8월 2일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의 업무 수행 여부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방부 장관이 오전 11시 52분쯤 장관 군사보좌관을 통해 김 사령관과 통화를 원한다는 메시지를 남기며 '수사단장에게 이첩을 미루라고 정확하게 얘기한 것이 맞는지' 물었고, 이후 김 사령관에게 '임 사단장이 정상 직무수행 중인지'까지 확인했다는 것이다.

센터는 "이첩 상황을 파악하다 말고 관련성이 떨어지는 임 사단장 신변 문제를 물어봤다는 건 그에게 관심 있는 누군가가 궁금해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