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건표의 인세이셔블 연극 리뷰] ‘갈등과 분열의 시대’, 고려 유신들의 정선아리랑으로 치유하는 김승철 연출의 <화전火田>

김건표 대경대학교 연극영화과 교수(연극평론가)

연극 화전. 공연사진작가 조상백 제공
연극 화전. 공연사진작가 조상백 제공
김건표 대경대 연극영화과 교수.
김건표 대경대 연극영화과 교수.

창작공동체 아르케의 <화전火田>(작·연출 김승철,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창작상실 올해의 신작으로 공연되고 있는 작품이다. 연극 분야 올해의 신작 5개 작품 중 <언덕의 바리>와 <아들에게>는 공연을 끝냈고, 남은 세 작품 <테디 대디 런>, <화전>, <이상한 나라의 사라>가 현재 공연 중으로 공연예술창작산실 프로그램이 중반을 돌고 있다. 김승철 작·연출의 <화전>은 희곡텍스트보다는 배우의 연기, 무대, 음악 등 장면을 구성하고 서사를 스트리밍시켜 배치하는 연출의 형식이 더 인상 깊은 작품이다. <화전>은 고려 멸망과 이성계의 조선 건국이 이루어지던 1398년대 강원도 정선의 서운산(瑞雲山) 골짜기의 화전민 마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고려의 유신(遺臣)이었던 전오륜, 김충한, 고천우, 이수생, 신안, 변귀수, 김위 등 칠현(七賢)이 이성계의 회유와 조선 건국에 타협하지 않고 강원도 정선으로 숨어들어 화전의 산나물로 끼니를 때우며 비통한 심정으로 충절을 지킨 설화가 모티브가 되었다. 지금으로부터 680여 년 전인 조선 초, 고려 왕조를 섬기던 유신들이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성을 다짐하는 비통한 심정으로 부르던 망국 가요가 고달프게 살아가는 백성들 사이에서 널리 불러지게 된 것이 '정선아리랑'이다. 지금도 정선 서운산 아래에는 7인의 위패를 모셔놓은 칠현사가 있고 나라를 잃은 칠현의 한과 슬픔은 정선아리랑의 가락이 되고 있다.

연극 화전. 공연사진작가 조상백 제공
연극 화전. 공연사진작가 조상백 제공

◆ 갈등과 분열의 시대, 공존을 말하다.

극을 쓰고 연출한 김승철은 칠현들의 이야기에 화전마을이라는 극적인 공간과 허구적 이야기를 더해 600년 전의 시공간을 현재화했다. 작품의 작의를 보면, 대립과 분열의 시대에 통합과 공존, 나아가 시대의 평화라는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듯하다. 4월 총선을 앞두고 세대갈등과 정치분열이 격화되는 지금, 고려 충신들의 이야기를 통해 조선건국 시대로 역주행하며 갈등과 분열의 시대에서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지 묻는 듯 보인다. 극 초반 화전마을에 신분을 감추고 숨어들어온 칠현들의 근근한 생활들이 비쳐진다. 이성계의 시대가 시작된 만큼 멸망한 고려 충신들을 화전마을에서 쫓아내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공존해야 한다는 마을 사람들로 충돌하는 장면에서는 작금의 계층, 세대, 성별 간 분열과 갈등이 떠오르른다. 현실판 민생행보처럼 칠현들이 민초들의 삶을 체득하며 화전마을을 함께 일궈나가는 장면에서는 웃음도 나온다. 칠현의 신분이 드러나는 극 중반 이후, 고려 유신 사대부 집안의 아들 전연(송현섭 분)과 화전민 처녀 이랑(윤슬기 분)의 신분을 초월한 사랑이 전개되고 이랑을 사랑하던 돌치(한동훈 분)의 분노로 극의 분위기는 치정으로 흐른다. 조선의 병사들은 칠현들 수색에 혈안이 되면서 무대는 긴장감이 돌고 칠현들이 숨어있던 화전마을의 갈대밭은 화염으로 뒤덮힌다. 애틋한 사랑과 비극적인 죽음을 위로하는 것은 정선아리랑의 가락이다. 화전민의 삶과 칠현들의 이야기가 강원도 사투리로 구현된 대사는 영화 <웰컴투 동막골>을 떠올리게도 하고, 마지막 불타는 갈대밭 장면은 <산불>의 특정 장면을 연상케 한다. 그럼에도 분열과 갈등의 지수가 높아지고 있는 지금, 우리들의 삶에서 김승철은 화전마을 촌장(신현종 분)과 전오륜(이해성 분)의 리더쉽과 공동체 구성원의 공존의 삶을 강조하며, 분열을 봉합할 수 있는 대안으로 사랑을 제시하는 듯하다. 갈등은 <화전>의 마지막 장면처럼 모두의 비극으로 귀결될 뿐이라는 점을 부각하고 있는 것일까.

무대는 이질적인 충돌을 보여준다. 극 중 배경이 고려말에서 조선 건국의 시점인데도, 무대 위 극 중 인물들의 의상과 분위기는 현대적이다. 무대 바닥을 20도 정도의 사선으로 올려 전체를 황토 바닥의 화전마을 공간으로 설정하고, 무대 뒤편은 화전마을의 구릉을 민화처럼 표현하면서 그 앞쪽으로 갈대밭을 만들어 등퇴장로로도 활용하고 있다. 오케스트라 공간에서 공연 내내 연주된 음악은 동서양의 정서를 융합한 리듬, 장면전환의 비트 등으로 극 중 인물들의 내면과 장면의 분위기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음악적 장치가 서사의 정서를 완충하고 무대 위 칠현과 화전민의 삶을 관찰자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했다는 점에서, 절제된 연기 스타일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화전>으로 소환된 칠현의 설화와 정선아리랑의 가락, 칠현(외지인)과 화전민(토착민)들 간의 갈등, 전오륜의 아들 전연, 이랑, 돌치의 사랑과 치정과 복수의 비극, 화전마을 촌장과 마을사람들의 갈등은 물론 마지막 갈대밭의 비극적 결말을 예측할 수 없게 만들 정도의 극적 긴장감은 유지하지는 못했다. 평면적으로 정직하게 내달리는 희곡텍스트에 대한 평가는 인색할 수밖에 없는 지점이지만, 연출가로서 김승철은 자신이 쓴 희곡의 극 중 장면을 마치 한폭의 현대 산수화처럼 그려냈고 여백을 음악으로 채웠다. <화전>의 플롯 구조는 단순하지만, 연출은 시대적인 배경을 의도적으로 이질적으로 충돌시키면서 장면 전환과 배우들의 움직임에 공존이라는 시선을 투영해 장면을 한공간에서 음악적인 리듬과 회화적인 구도로 연속적으로 구현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희곡 보다 연출이 드러나는 공연이다.

연극 화전. 공연사진작가 조상백 제공
연극 화전. 공연사진작가 조상백 제공

◆ 공존의 키워드로 맥락화된 무대공간

배우들은 무대 정면을 바라보면서도 특정 대사에서는 극 중 인물 간 마주보기 대사를 시도한다. 다른 방향을 보지만 같은 방향도 볼 수 있다는 이러한 연출적 장치는 '공존'이라는 키워드의 맥락에서 의미화된다. 극 중 장면들의 스톱모션에도 연속적인 배우들의 감각 리듬은 유지되고, 두 개의 장면이 무대에서 연속적으로 발화되는 구도와 배치도 보인다. 여기에 연출은 의도적으로 공간을 분리하지 않는다. 인물들 대부분의 등퇴장 역시 화전마을이라는 집단적 공간 안에서 이루어진다. 고려의 유신들도 화전민들도 화전마을이라는 공동체 안에서는 차이 없는 동등한 인간으로 공존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이 공동체 안에서 생겨날 수 있는 갈등과 분열을 치유하는 것은 신분을 초월한 전연과 이랑의 사랑이며, 이 두 사람의 사랑을 포용할 수 없는 돌치의 복수는 또 다른 분열과 갈등의 비극이 될 수 있다는 의미도 읽힌다. 비약적 해석이면서 설화 속 인물들을 소환한 텍스트를 통해 지금 여기의 시점을 떠올리게 한다는 점에서 셀프-설득력이다. 연출 의도가 무대에서는 명확했으면서도, 유신 칠현들의 정선아리랑 근원 설화에 엮어낸 전연과 이랑의 사랑, 돌치의 복수, 갈대밭의 화염은 다소 작위적이다. 왜 600여 년 전의 설화를 지금 시대로 소환했을까 라는 점에서는 명확한 설득력을 부여하지 못했고, 고랑(경미 분)의 극 중 캐릭터가 불명확하게 그려졌다. 그럼에도 배우들의 연기와 라이브로 진행된 음악(건반, 징, 북과 첼로, 콘트라베이스와 바이올린)의 다이나믹한 리듬이 장면의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해주었고, 30대 젊은 배우와 중견배우들의 연기가 2시간 동안 균형감 있게 속도를 냈다. 특히 작가이면서도 연출가인 극단 고래 대표 이해성은 전오륜 역을 맡아, 마을촌장 역의 신현종과 함께 공연을 안정적으로 이끌었다. 김성일, 조은경, 이경성 등의 배우들도 김승철 연출의 리듬을 명확하게 소화해내는 역할을 해주었다. 여기에 이번 공연을 통해 창작공동체 아르케의 무대에서 처음으로 비중있는 역할을 맡은 이랑 역의 윤슬기는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무대를 끌고 가는 에너지와 연기 감각을 인상적으로 보여주었다. 연극 <화전>은 연출 형식이 장점이 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2월 25일까지 대학로예술극장 대공연장에서 공연된다.

연극 화전. 공연사진작가 조상백 제공
연극 화전. 공연사진작가 조상백 제공

| 김승철 연출은.

90년대부터 서울연극앙상블의 배우로 10여 년 동안 20여편의 작품을 공연했다. 2008년 창작공동체 아르케를 창단해 <아름다운! 보이첵>으로 데뷔하며 작품을 쓰고 연출하고 있다. <그류?그류!>(2009), <전야제>(2009), <안티고네>(2010), <소뿔자르고주인오기전에도망가선생>(2015), <툇마루가 있는 집>(2017), <전쟁터의 소풍>(2018), <작가를 찾는 6인의 등장인물>(2020), <굿 닥터>(2023) 등 40여 작품을 통해 창작공동체 아르케만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서울연극인 대상 연출상(<어느 물리학자의 낮잠>), 공연과이론 선정 작품상(<소뿔자르고주인오기전에도망가선생>), 서울연극제 우수작품상(<툇마루가 있는 집>), 서울연극인 대상 연출상(<길>), 2020 창작산실 대본 공모 선정(<셋톱박스>), 2019 월드2인극 페스티벌 최우수 작품상(<들꽃>)을 수상했다.

대경대학교 연극영화과 교수(연극평론가)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