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각과 전망] 근대화전쟁

'건국전쟁' 영화, 늦게나마 이승만 대통령 재평가 다행
박정희 대통령도 제대로 평가 받아야... '근대화전쟁' 영화 만들어졌으면

1975년 1월10일 구미산단 1단지와 2, 3단지를 잇는 구미대교 준공식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구미시 제공
1975년 1월10일 구미산단 1단지와 2, 3단지를 잇는 구미대교 준공식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구미시 제공
임상준 서부지역취재본부장
임상준 서부지역취재본부장

작은 체구의 소년은 일제 사범학교 시절 축구부였다.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축구부에서 쫓겨났고 성적표엔 꼴찌 성적(可)이 기록됐다. 공을 일본인 학생에게는 차 주지 않고 조선인 급우에게만 보냈기 때문이다. 일제에 저항하는 소년만의 방식이었다.

그는 자라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됐다.

한번은 사범학교 때 일본인 교사였던 요네사쿠 씨를 청와대에 초청했다(1972년). 졸업 앨범 연호를 일본 연호(소화) 대신 조선의 '단기와 서기'를 쓸 수 있도록 눈감아 준 은사에 대한 뒤늦은 감사였다.

월남전이 한창이던 어느 여름날엔 미국의 한 무기 회사로부터 100만달러를 받기도 했다. 무기상은 한국의 대통령을 첫 대면한 자리를 이렇게 기억했다.

"아무리 가난한 나라지만 그의 행색은 한 국가의 대통령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모습이었다. 대통령은 '손님이 오셨는데 잠깐이라도 에어컨을 트는 게 어떻겠나'라고 비서에게 말하며 환대했다."

"각하, 이 돈(100만달러)은 한국이 저희 M16 소총 수입을 결정해 주신 데 대한 작은 성의입니다."(무기상)

순간, 대통령의 얼굴에 엷은 미소가 돌았다. 그 역시 무기 구매 사례비를 전달한 다른 국가 지도자들과 다를 것이 없구나.

"이 돈 정말 날 주는 거요? 그럼 내 돈이니까 내 돈으로 당신 회사와 다시 거래를 하고 싶소. 당장 이 돈만큼 총을 더 가져오시오. 이 돈은 지금 내 형제와 내 자식들이 독일과 월남 땅에서 피땀 흘려 바꾼 돈이요."(대통령)

47세 때는 차관을 얻고자 서독 총리를 만나 눈물로 호소한다. "우리 국민들 절반이 굶어 죽고 있습니다. 서독 정부가 자금을 빌려 주면 반드시 대한민국 국가 재건을 위해 사용하겠습니다." 귀하게 얻은 종잣돈은 그렇게 포항제철과 경부고속도로가 됐다.

위는 모두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실화다.

세계 1위 철강 기업 포항제철(현 포스코 그룹)과 세계 6위 무역 국가의 초석 경부고속도로에는 '잘사는 나라, 대한민국'을 바라는 그의 애국심이 깃들었다. 새마을운동을 통해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국가 발전에 동참하게 했으며 성공적인 산업화를 이뤄내 농경사회였던 대한민국을 오늘날의 선진 산업 대국으로 도약시켰다. 통일벼는 먹는 가난을 끊게 했고, 전기·전자·자동차·반도체는 경제적 가난을 극복, 대한민국에 민주주의와 인권 의식을 꽃피우게 했다.

국정과 정치 공약이 포퓰리즘이 아닌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적 결단'으로 '한강의 기적'을 일궜다.

하지만 늘 박 대통령에 대한 숱한 사실은 왜곡되고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는 등 저평가되며 '굴욕'의 침을 맞는다. 최소한의 경제적 부(富) 없이는 민주주의가 어렵다'는 정치 이론을 증명했는데도 인권 탄압만 부각된다. 비틀고 조작하고 무덤에 침을 뱉더라도 이승만 대통령이 깔아 놓은 튼튼한 한·미동맹의 레일 위에 박정희 대통령의 산업화 열차가 마음껏 달렸고,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있게 했다는 점은 팩트다.

이런 점에서 늦게나마 '건국전쟁'이 쏘아 올린 공이 이승만 대통령 공(功)을 제대로 평가하는 것 같아 다행스럽다. 당초 경북 북부 지역에는 상영관 잡기가 녹록지 않아 영화 상영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경북도의 적극적인 요청으로 영화를 볼 수 있게 됐다고 하니 경북도에 감사를 드린다. 동시에 건국전쟁에 이은 '근대화전쟁'(박정희 대통령 생애)이 스크린에 걸리길 고대하겠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