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과 의사 7억 받을 때 소아과 1억…필수의료 누가 하나

의사단체가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에 반발하면서
의사단체가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에 반발하면서 '총파업' 등 집단행동을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의료계 집단행동의 파급력을 키우는 역할을 했던 주요 상급종합병원 전공의들도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 역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2020년 의대 증원을 추진했을 당시에도 전공의들이 의협이 주도하는 집단 휴진에 대거 동참하면서 의료현장에 혼란이 빚어졌다. 전체 전공의의 80% 이상이 집단 휴진에 참여하면서 의료현장 곳곳에 공백이 발생했고, 실제 주요 병원의 수술건수가 급감해 환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당시 일부 병원에서는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하기도 했다. 사진은 8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하는 의료진. 연합뉴스

국내 의사들이 필수 진료과 소속 여부에 따라 평균 임금 차이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과와 피부과 등 소위 인기 과는 평균 연봉이 약 4억원이었던 반면, 필수 의료 분야인 소아청소년과는 1억원대에 불과했다.

25일 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보건의료인력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안과 전문의의 연평균 임금은 3억8천900만원으로 4억원에 가깝다. 이는 28개 진료과 중 가장 높은 액수다.

이어 정형외과가 3억7천600만원, 신경외과(3억2천600만원), 피부과(2억8천500만원), 재활의학과(2억8천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안과와 정형외과, 피부과 등은 비필수 의료 분야로 매년 지원자가 몰리는 인기과로 분류된다.

위 과들과 비교하면 필수 의료 분야의 전문의 연봉은 크게 낮다. 먼저 낮은 출산율로 '폐과 선언'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평균 임금은 1억3천500만원으로 28개 진료과 중 가장 낮다.

이외에도 ▷산부인과 2억3천700만원 ▷응급의학과 2억3천400만원 ▷흉부외과 2억2천600만원 ▷외과 2억2천400만원 등 필수 의료 분야 전체 평균은 2억3천700만원을 밑돌고 있다.

의료기관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차이는 더욱 심하다. 300병상 이상 요양병원 안과 전문의는 연평균 7억6천800만원에 달하는 임금을 받고 있다. 반면 100병 이상 병원급에 근무하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1억9천200만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별로는 울산지역 의사의 평균 연봉이 2억6천5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세종이 2억6천300만원, 경북(2억6천만원), 전남(2억5천900만원), 충북(2억5천700만원), 경남(2억5천6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평균 연봉이 2억1천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