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상위 20% 대학교의 졸업생이 하위 20%보다 최대 50% 가까이 임금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고영선 선임연구위원(연구부원장)은 27일 발간한 'KDI 포커스: 더 많은 대기업 일자리가 필요하다'에서 이렇게 밝혔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대기업(250인 이상)이 전체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로 OECD 32개국 중 최하위에 해당한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300인 이상 사업체의 일자리 비중은 2021년 기준 전체 종사자의 13.8%, 임금근로자의 18.4%로 나타났다. 반면 10인 미만 사업체의 일자리 비중은 전체 종사자의 45.6%, 임금근로자의 30.7%나 됐다.
대기업이 전체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독일이 41%였고, 스웨덴(44%), 영국(46%), 프랑스(47%), 미국(58%)은 이보다 높았다.
우리나라는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도 큰 편이었다. 2022년 기준 5∼9인 사업체의 임금은 300인 이상 사업체의 54%에 머물렀다. 100∼299인 사업체의 임금은 이보다 높은 71% 수준이었다.
해당 연구에서 대기업 일자리 부족으로 나타나는 문제는 '입시경쟁'이라고 지적했다. 상위권, 하위권 대학 졸업생 간 임금 격차가 크기 때문에 대학 입시경쟁이 치열해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연구에선 4년제 일반 대학을 수능성적에 따라 5개 분위로 구분한 후 1분위(하위 20%)부터 5분위(상위 20%) 대학 졸업생의 평균임금을 연령대별로 분석했다.
그 결과 1분위 대비 5분위의 임금 프리미엄은 20대 후반(25∼29세)에 25%, 30대 초반(30∼34세)에 34%, 30대 후반(35∼39세)에 46%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40대 초반(40∼44세)에는 51%에 달했다. 1분위가 평균 임금 5천만원을 받는다고 가정할 때, 5분위는 약 1.5배인 7천500만원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후 ▷45∼49세 33% ▷50∼54세에 10% ▷55∼59세에 1%로 감소했다.
고 부원장은 "수도권 집중 현상도 결국 비수도권에 대기업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임기 못 마치고 떠나 시민께 송구…대선 승리해 금의환향하겠다"
박은정, 315일 전 尹에게 받은 난 키워 '파면 축하 난'으로 선물
홍준표, 시장직 사임 "尹 억울함 풀 것, 임기 못마쳐 죄송"
한동훈, 출마 선언…이재명 겨냥 "괴물정권 탄생 막아야"
尹 만난 이철우 "주변 배신에 상처받아…충성심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