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왜 이렇게 기운이 없을까~ 아무것도 못 드시시니 힘이 없지~ 밖에 꽃나무 사진 찍어 온 거 좀 보여줘야겠다~ 아이고 우리 할매 웃게 하려면 뭘 해야하나~"
지난달 26일 대구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한 병실. 적막함을 깨고 다정한 대화가 오간다. 맘 놓고 투정부리는 아픈 엄마와 그런 엄마를 어르고 달래느라 바쁜 딸. 영락없는 모녀의 모습이다. 7개월 전 췌장암 4기를 판정받은 장귀련(86) 어르신과 유일한 가족을 자처한 한옥자(70) 씨가 그 주인공. 피 한 방울 안 섞였다지만 장 씨와 한 씨의 선한 미소는 그 누구보다 꼭 닮았다.
※인터뷰 질문에는 한옥자 씨가 답변했습니다
-모녀지간이라는 소리 많이 들을 것 같다. 둘의 인연은 언제부터 시작했는가.
▶17년 전부터 알았다. 내가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통장을 했었는데 장귀련 할머니는 당시 우리 동네에 혼자 사시던 어르신이었다. 통장 일을 할 때 동네 홀몸 어르신들이 눈에 밟히더라. 그래서 매일 동네 산책을 하며 찾아갔다. 어르신들 들여다보고 이야기 나누고 하는 게 좋았다. 그러다 보니 통장에서 내려왔는데도 어르신들이 나를 계속 찾더라. 장 할머니와도 여태껏 그렇게 인연을 맺어온 것이다.
-건강이 안 좋아진 장 할머니가 한 씨에게 가장 먼저 전화를 했다고 들었다.
▶17년동안 알고 지낸것도 있고, 평소에 가전제품이 고장나거나 딸 역할이 필요할 때 편히 연락을 주셨었다. 그래서 아플 때도 내가 제일 먼저 생각난 모양이더라. 장 할머니는 17세에 결혼해 50세가 될 무렵 남편을 먼저 떠나보냈다. 아이가 없는 탓에 남편을 여읜 후에는 혈혈단신으로 살아오셨다. 주변 홀몸 어르신들을 보면 장 할머니처럼 자식이 없는 분도 계시지만 자식이 있어도 자주 찾아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 사실 제 부모 하나도 챙기기 힘든 세상이다.
▶다들 어떻게 오랫동안 어르신들을 챙기냐고 묻지만 그냥 진짜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이다. 하는 것도 별로 없다. 그냥 안부 묻고, 필요한 거 도와 드리고. 그게 뭐 대단한 일이라고 이야기들 하나 싶다. 시아버지 시어머니도 다 모셨는데 32년간 같이 살다 돌아가셔서 그런지 모르지만 나는 그냥 어르신들이 좋다. 홀몸 어르신들 돌보는 걸 시어머니가 질투도 하셨다. 내 며느리가 다른 곳에서도 "새댁" "며느리" "딸"로 불리는 게 싫으셨나 보다. (웃음)
-긴 세월만큼 홀몸 어르신들과의 추억도 많겠다.
▶할매, 할배들 생각하면 눈물부터 난다. 한 할매는 돌아가시기 전에 나한테 새카만 봉투에 돈을 둘둘 싸서 갖다주더라. 죽기 전에 전재산 50만원을 나한테 주고 싶다면서 말이다. 다시 할매 집에 그 돈을 다 갖다 주자 할매가 그 돈으로 18K 목걸이랑 팔찌를 맞춰 왔더라. 엄마가 주는거라 생각하고 항상 끼고 다니라고 신신당부를 하더라.
또 한 할매는 돌아가시고 나서 며느리가 찾아왔었다. 자기도 제대로 못 봐드린 어머님 잘 보살펴줘서 고맙다고 내복을 가져와서 몇 번을 인사하더라. 지금도 한 열명 어르신과 매번 전화 통화를 하는데 혹시 귀찮으실까봐 "내가 전화하는거 괜찮아요?" 물으면 그런 말 하지 마라고 화를 내신다.
-장 할머니가 아프시고 나서 마음 고생 많으시겠다.
▶내가 인연을 맺은 어르신들이 아프다고 하면 그게 제일 눈물 난다. 장 할머니는 특히 내가 많이 따르고, 보고, 배운 게 많은 어르신이다.
-안 그래도 장 할머니가 2017년 기부도 하셨더라.
▶남편을 여의고 장 할머니는 파지를 줍고 산에 올라 냉이와 쑥을 캐 시장에 내다 팔며 사셨다. 그리고 기초생활수급자로 받은 돈을 함께 차곡차곡 모아 80세가 되던 해 서구 인재 육성재단에 5천만원을 기부 하셨다. 돈 모으느라 고기 한 번 못 사 먹었어도 기부하고 나니 너무 기쁘다며 얼마나 좋아하셨는지 모른다.

-너무 큰돈이다.
▶장 할머니에게는 더더욱 큰돈이다. 어떻게 저 어른이 혼자서 오늘날 까지 돈도 벌고 기부도 했나 싶다. 얼마나 강한 분인지 모른다. 정말 많이 배운다. 엊그제는 같이 병실을 썼던 학생이 퇴원하면서 장 할머니에게 10만원을 담은 봉투를 주고 가더라. 뭘 잡수시질 못하니 돈을 드린 모양이더라.
어디서 할머니가 기부했던 이야기를 들었던지 할머니같이 훌륭한 사람이 되겠다며 한참을 울다 갔다. 모두가 존경할 만한 분이다. 장 할머니는 기부를 하고 나서 이런 말을 하셨었다. "죽어서 저승에 가면 '니는 뭐하고 왔노'라고 물을텐데 나는 할말이 없다. 그런데 이제는 죽어도 여한이 없다. '남을 위해 조금은 애쓰고 왔어요' 라고 말할 수 있으니 말이다"
-장 할머니와 같이 병실 쓰는 분들의 칭찬도 자자하더라.
▶우리 할머니는 진짜 단단한 사람이다. 아무것도 드시지 못해 기운이 없으신데도 도와달라는 말 한 번을 안 하신다. 기자님도 보셔서 아시겠지만 여기 코와 팔에 연결된 호스들이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 긴 삶의 마지막을 준비하면서도 본인보다는 같이 병실 쓰는 사람들의 안부에 더 관심이다. 그래서인지 할머니 침대로 환자들이 늘 많이 모인다.

-장 할머니 간호를 계속 이렇게 해오신건가.
▶그냥 시간 날 때마다 매번 온다. 안 오면 할머니가 전화를 하기도 한다. 머리 감겨주고 요구르트 사다주고…별거 없다. 그냥 앉아서 도란도란 이야기 나누고 할머니에게 노래 들려주고 하다 보면 4시간이 훌쩍 지나간다. 얼마 전에는 외출하고 싶다고 하셔서 우리 신랑 차 타고 동화사를 다녀왔다. 힘이 드시니 잘 걷지 못하고 뭘 못 드시니 식당도 못 갔지만 참 좋아하시더라. 그리고 병원 수납이나 전원하는거 도와주고 그런 자잘할 일을 한다. 이게 뭐 큰일이냐
-큰일이 아니라고 하시지만 큰일이 맞다.
▶어르신이다 보니 처리하기 힘든 부분을 도와줄 뿐이다. 나라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들이나 할머니가 잘 모르시는 그런 것들을 내가 봐준다. 살던 집도 정리를 해줬다.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지는 않지만 돌아가시고 나서의 일들도 다 준비 해놨다.
-한옥자 씨가 딸이라면, 남편 분은 사위 역할을 하는 것 같다.
▶남편 아니었으면 여태껏 봉사를 못 했다. 내가 운전을 못하니까 어르신들 데리고 어디 다녀주고, 일도 같이 봐주고 … 남편이 함께 해준다. 우리 남편도 봉사활동 참 많이 했다. 내가 2018년 대구자원봉사대상 받았을 때도 했던 말이 있다. 내가 적십자나 검찰청 학생 선도, 구청 봉사 등 하고 있는 봉사들이 많더라도 상 받는건 우리 남편이 받아야 한다고. 그만큼 우리 남편 도움 없었으면 오늘날까지 편하게 봉사를 못 했을 거다.
-사실 한옥자 씨도 나이가 이제 많지 않나. 어르신들 챙기는게 힘들진 않나
▶하하. 실제로 손주들이 많이 커서 할매라고 불리는 입장이긴 하다. 하지만 할매 할배들 찾아다니는건 좋아서 하는 일이라 힘이 안 든다. 나를 찾는 어르신들이 있는 한 계속 이렇게 살거 같다. 내 몸이 허락하는 날까지는 봉사하고 싶다.
"모녀지간 맞네요 뭘~" 인터뷰가 끝날무렵 기자의 입에서 툭 튀어나온 말. 평생 모은 돈을 기부하고도 '큰일 아니다' 라는 장귀련 어르신. 30여년 넘게 봉사를 해오면서도 "별일 아니다" 라는 한옥자 씨. 선한 마음이 꼭 닮은 두 사람의 황혼은 오늘도 아름답게 짙어간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