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자들 어쩌나…전공의 복귀는커녕 인턴·전임의들도 떠났다

의사단체가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에 반발하면서
의사단체가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에 반발하면서 '총파업' 등 집단행동을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의료계 집단행동의 파급력을 키우는 역할을 했던 주요 상급종합병원 전공의들도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 역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2020년 의대 증원을 추진했을 당시에도 전공의들이 의협이 주도하는 집단 휴진에 대거 동참하면서 의료현장에 혼란이 빚어졌다. 전체 전공의의 80% 이상이 집단 휴진에 참여하면서 의료현장 곳곳에 공백이 발생했고, 실제 주요 병원의 수술건수가 급감해 환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당시 일부 병원에서는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하기도 했다. 사진은 8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하는 의료진. 연합뉴스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는커녕, 새롭게 의료 현장에 투입돼야 할 인턴과 레지던트 1년차마저도 임용을 포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료공백이 커지면서 응급실을 이용하지 못하는 환자들의 피해 사례도 불어날 전망이다.

4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시내 주요 수련병원에선 매년 3월 들어와야 할 인턴과 레지던트들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레지던트 1년차로 임용 예정이었던 인턴과 인턴 예정이었던 의대 졸업생들의 90% 이상이 임용 포기 의사를 드러낸 바 있다.

이달 1일을 기준으로 각 병원에 신규 인력으로 수혈돼야 할 인턴과 레지던트 1년차들이 대거 임용을 포기하면서 의료공백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서울의 한 수련병원 관계자는 "지금 교수와 전임의들이 전공의들의 업무를 메우고 있지만, 새로운 인턴과 레지던트들이 들어오지 않는 이 상황에선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전공의의 의료공백을 대신하던 전임의들도 피로감을 호소하면서 이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전남대병원은 신규 전임의 임용 대상자 52명 중 21명이 최종 임용을 포기했다.

'빅5'로 불리는 서울대와 서울아산, 삼성서울, 세브란스, 서울성모 등 상급종합병원 상황도 좋지 않다. 서울성모병원은 정확한 숫자를 파악하긴 어렵지만 계약하려 했던 전임의의 절반가량이 들어오지 않는 것으로 파악했다.

의료 인력이 부족해지는 만큼 그 피해는 환자들이 고스란히 떠안을 전망이다. 현재 병원 상당수가 응급실을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아산병원은 응급실에서 내과계 중환자실(MICU) 환자를 수용할 수 없다고 공지했다. 세브란스병원도 심근경색과 뇌출혈 등 응급 환자들에 대해 부분적으로만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정부는 의료 현장으로 복귀하지 않는 의사들에 대해 강경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50개 수련병원에 대한 현장 점검을 하고 의료 현장을 이탈한 전공의를 대상으로 면허정지 처분 등 행정절차에 나선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정부는 현장을 점검해 위반 사항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며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을 위반하면 최소 3개월의 면허정지 처분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을 이탈한 인원에 대해서는 면허정지 처분 절차에 들어간다. 이 처분은 불가역적"이라며 "오늘 점검에서 부재가 확인되면 내일 바로 행정처분 사전 통보를 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