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좀 보관하고 계시요? 보관만 하지 말고 출하 좀 부탁하니더."
13일 오후 안동농협 농산물공판장. 사과 선별 작업과 상하차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경매사들은 농가에 사과 출하를 독려하는 전화를 돌리느라 분주했다. 사과 가격이 '금값'이 되자 어떻게든 공급량을 늘려 가격을 안정화하려는 것.
한 경매사는 "사과 값이 연일 오르고 있다 보니 조금이라도 비싼 가격에 사과를 출하하려고 창고에 묵혀둔 농가가 있어 전화를 돌리고 있다. 2~3명이 조를 짜서 사과를 보관하고 있는 농가를 수소문해 직접 찾아가 사과 출하를 독려하는 지경"이라고 전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전날 사과(후지·상품) 10㎏당 도매가격은 9만1천700원으로 사상 최고 가를 기록했다. 1년 전 가격(4만1천60원)과 비교하면 무려 123.3%나 올랐다. 게다가 이달 6일(9만1천120원)부터는 9만원대를 이어와, '9만 사과'라는 말까지 나온다.
같은 날 안동농협 농산물공판장에서는 특5 등급 사과 (20㎏·미얀마 품종)가 평균 15만6천668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같은 날 이 등급·품종 사과(20㎏)는 6만6천143원에 거래돼 1년 만에 약 2.37배(136.86%) 올랐다.
이처럼 도매가격이 1년 새 2배 넘게 뛰면서 도매상회는 손님의 발길이 뚝 끊겼다.
공판장 내 한 도매상은 "사과 값이 올라서 득을 보는 곳은 비싼 가격에도 사과 구매 수요가 있는 백화점 말고는 없는 것 같다"며 "보통 도매상회를 찾는 손님은 싸게 사과를 구매하기 위해서 찾는데 기본 사과 값 자체가 비싸다 보니 사과를 사러 왔다가도 발길을 돌리기 일쑤"라고 울상을 지었다.
농가의 한숨도 깊다. 지난해 봄철 과수 저온 피해 탓에 사과 농사가 흉작이라 값이 올라도 팔 사과가 없어 실제로 쥐는 현금이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봄철 이상기온으로 사과꽃 개화 시기가 10일 정도 빨라지면서 지역 농가도 큰 피해를 겪었다. 경북의 사과 주산지 청송은 지난해 3월 단 하루만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정도로 온화해 꽃이 일찍 폈지만, 27일 서리가 내리면서 789농가 229㏊ 면적의 농작물이 피해를 보았다.
예천에서 사과농장을 하는 엄승일(58) 씨는 "사과 값이 올라 '노났겠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은데, 사과가 없어 사과 값이 올랐기 때문에 농가는 사실상 비싸게 팔 사과가 없다"며 "사과를 오래 보관한 농가나 그나마 농사가 잘된 아주 일부 농가만 겨우 예년수준으로 득을 봤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