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수성사격장 훈련이 재개 20일도 채 안 돼 멈췄다. 포항시 남구 장기면 산서리 주민들이 사격장 입구를 막고 시위를 벌였다. 훈련 재개 조건이던 민관군 협의체 구성에서 제외된 탓이 컸다. 훈련은 2021년 2월 중단됐다가 이달 초 재개된 터다. 주민 상당수는 고향에서 일생을 살아온 촌로들이다. 1965년부터 시작된 훈련장 소음을 견뎌왔다. 전문 시위꾼으로 보이는 이는 한 명도 없다.
훈련장 기능 중단은 주한 미군 아파치 헬기 사격 소음 탓이 크다. 이전에도 해병대의 사격 훈련은 있었다. 해병대는 농번기 주민들을 도우며 상생의 표본을 만들어왔다. 그러나 아파치 헬기 사격 소음과 진동은 견디기 어려웠다. 피해 지역은 장기면 산서리, 수성리 등 반경 4㎞ 이상이다. 체감적 피해가 컸던 이유 중에는 사격 훈련장 변동도 포함됐다. 주한미군 아파치 헬기 사격 훈련은 경기도 포천 영평사격장에서 하던 것이었다. 남북 화해 무드를 강조한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며 포천 주민들의 반발이 격해지자 포항 수성사격장으로 훈련 장소를 바꾼 것이었다.
2천800여 주민들은 '포항 수성사격장 이전 또는 완전 폐쇄 요구' 집단 민원을 국민권익위원회에 제기했다. 올 초 조정 회의를 거쳐 훈련 재개 등에 합의했다. 범정부 차원의 민관군 협의체 구성과 주민 요구 사업 논의라는 조건을 달았다. 이 과정에서 산서리 주민들이 빠졌다. 무리한 요구는 협의체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지만 반대 목소리가 크다는 이유로 일부 주민들을 고의적으로 배제하는 건 온당치 못하다. 장기간 줄다리기 협의로 관련 부처 관계자도 일부 교체됐던 만큼 업무 인수인계도 제대로 됐는지 짚어봐야 한다.
주민과 군의 갈등은 포천에서 하던 훈련을 포항에서 하면서 시작됐다. 근본 해결책은 사격장 이전과 폐쇄지만 지금으로서는 원만한 협의와 상생 노력이 우선이다. 주민들은 국가 방위라는 대의를 감내하며 고통을 견뎌왔다. 주민 요구 사항은 하나다. '우리의 목소리도 들어달라'는 것이다. 민관군 협의체 참여 주체를 확대한 의견 조율이 불가피하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대구시장 졸업 시기 빨라질 수 있단 생각" 대선 출마 암시
구미시 "가수 이승환 콘서트 공연장 대관 취소…안전상 문제"
부정선거 알레르기 반응 세력, 도대체 왜? [석민의News픽]
"이재명은 안 돼" 선관위가 막은 현수막 문구…결국 재논의
가처분 신청에도 설치 완료된 박정희 동상… 시민단체 "즉각 철거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