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잡히지 않는 농산물 물가가 안정될 때까지 긴급가격안정 대책을 계속 추진해나가기로 했다. 또 대형마트에 집중된 납품단가 지원 대상도 중소형마트와 온라인쇼핑몰, 전통시장까지 확대한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5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6차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과일 등 일부 농산물 가격 강세, 국제유가 상승 등 불안 요인이 상존하는 만큼 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물가안정 노력을 한층 강화할 것"이라며 "정부는 먹거리 물가가 안정될 때까지 긴급 가격안정대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최근 농축수산물 가격 흐름에 대해 "지난달 18일부터 긴급 가격 안정자금 투입으로 소비자 체감 가격이 지속 하락하고 있다"며 "이달부터는 일조시간 증가 등 기상여건이 개선되고, 참외·수박 등 대체과일이 본격 출하하면서 공급여건이 좋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회의 참석자들도 최근 식료품과 에너지 등 변동성 큰 품목을 제외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2월 2.5%에서 3월 2.4%로 낮아지는 등 하향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아직 과일 등 일부 농산물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고 중동 등 지정학적 갈등 등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는 등 불안 요인이 상존하는 것으로 봤다.
이에 정부는 농산물 납품단가 지원 대상을 중소형마트·온라인쇼핑몰·전통시장으로 지속 확대하고, 정부 직수입 과일을 전국 1만2천여개 골목상권에도 공급한다. 6일부터 12일까지 전국 50여개 전통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추가로 개최하는 등 정부 지원 혜택이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최근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불법과 편승 인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운영 중인 '범부처 석유시장 점검단'을 통해 석유가격과 품질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가짜석유 판매 등 불법석유 유통 이력이 있는 1천600여 주유소를 대상으로 야간 등 취약시간대 검사 강화와 암행 단속 차량 검사를 상반기까지 지속 추진해 나간다.
아울러 최근 일부에서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날부터 전국 32개 공영도매시장을 시작으로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대형유통업체 등의 농산물 출하와 유통 실태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 현장 실태점검 결과 등을 바탕으로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임기 못 마치고 떠나 시민께 송구…대선 승리해 금의환향하겠다"
박은정, 315일 전 尹에게 받은 난 키워 '파면 축하 난'으로 선물
홍준표, 시장직 사임 "尹 억울함 풀 것, 임기 못마쳐 죄송"
한동훈, 출마 선언…이재명 겨냥 "괴물정권 탄생 막아야"
尹 만난 이철우 "주변 배신에 상처받아…충성심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