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로 돈 빌린 사람들은 허리 휘는데…입 벌어지는 금융지주사 순이익… DGB금융은 주춤
금융감독원, 9일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 발표
10개 금융지주사 당기순이익은 21조5천246억원
은행‧보험 계열 이익 확대에 힘입어 국내 금융지주사가 지난해 21조5천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금융지주사 순이익이 20조원을 넘은 건 2021년부터 3년 연속이다. 높은 이자율 탓에 모든 경제 주체들이 큰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은행을 중심으로 큰 순이익 규모가 발표되면서 소상공인을 비롯해 중소 제조업체들을 중심으로 볼멘소리도 터져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수도권 금융지주사와는 대조적으로 지방 금융지주사 순이익은 1년 전보다 쪼그라들었다. 돈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가속화하는 때문으로 풀이된다.
9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0개 금융지주사(KB·신한·농협·하나·우리·BNK·DGB·JB·한국투자·메리츠)가 거둔 연결 당기순이익은 21조5천246억원으로 지난 2022년(21조4천470억원)보다 776억원(0.4%) 증가했다.
자회사 권역별 순이익은 은행이 15조4천억원, 보험이 3조3천억원, 금융투자회사가 2조8천억원, 여신전문금융사(여전사) 2조7천억원 순이었다. 특히 보험 순이익이 전년 대비 1조146억원(43.6%) 급증했고, 은행은 7천863억원(5.4%) 증가했다. 금융투자사는 1조6천986억원(-37.9%), 여전사 등은 8천902억원(-24.6%) 감소한 것으로 나왔다.
10개 금융지주사 총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3천530조7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112조6천억원(3.3%) 늘었다. 자회사 권역별 증감을 보면 은행 총자산이 81조1천억원(3.2%) 늘었고, 금융투자사는 42조8천억원(13.3%), 여전사 등은 5조6천억원(2.4%) 증가했다. 보험은 24조원(-9.1%) 감소했다.
전체 금융지주사 실적 개선에도 지방 금융지주사 수익 지표는 악화했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DGB금융지주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4천121억원으로 전년(4천453억원) 대비 332억원(7.45%) 감소했다.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한 2021년(5천537억원)에 이어 3년 연속 하락을 기록한 것이다.
BNK(8천331억원→6천789억원), JB(6천182억원→6천39억원)까지 3대 지방 금융지주사 당기순이익이 모두 내림세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제 규모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대된 영향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금감원은 금융지주사 자산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순이익이 2021년 이후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면서 일단 보수적인 평가를 내렸다. 주요 경영지표가 안정적인 수준이지만 고정이하여신(부실 채권) 비율이 상승한 만큼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도 봤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그룹과 관련한 위험 요인 모니터링·분석·대응을 지속하면서 지주사가 자회사의 해외 투자,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공동 투자 등의 리스크를 관리하고, 건전성을 높이도록 통할(統轄) 기능 강화를 유도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