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42년 인구 5천만명선 붕괴…생산연령 10명 중 1명 외국인

통계청 내·외국인 인구추계 발표…외국인 인구 361만명까지 증가
이주배경 인구도 404만명…내국인 총부양비 42명→82명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추계. 통계청 제공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추계. 통계청 제공

18년 뒤 대한민국의 총인구가 5천만명 선이 붕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생산연령인구도 10명 중 1명이 외국인일 것으로 관측된다.

11일 통계청은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추계: 2022~2042년'을 발표했다. 장래인구추계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출생, 사망, 국제 이동 가정을 조합한 3개(중위, 고위, 저위)의 시나리오를 만들었다.

자료를 보면 총인구는 중위 추계 기준 2022년 5천167만명에서 2042년 4천963만명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내국인 구성비는 96.8%(5천2만명)에서 94.3%(4천677만명)로 줄어든다.

반면 외국인 인구는 2022년 165만명에서 2042년 285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외국인 구성비도 3.2%에서 5.7%로 높아질 전망이다. 고위 추계에서 외국인 인구는 361만명, 외국인 구성비는 6.9%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같은 변화는 생산연령인구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분석됐다. 내국인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중위 추계 기준 2022년 3천527만명에서 2042년 2천573만명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 147만명에서 2042년 236만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전체 생산연령인구 중 외국인의 비율은 2022년 4.0%에서 2024년 8.4%로 두배 이상으로 증가하게 된다.

고위 추계 기준 외국인 생산연령인구는 2042년 294만명까지 늘어난다. 내국인 감소가 더욱 빠르게 나타나면서 생산연령인구 중 외국인 비율은 10.1%까지 올라간다.

연령구조로 보면 2024년 기준 내국인은 36.9%가 65세 이상 고령인구, 55.0%가 생산연령인구, 8.1%가 14세 이하의 유소년인구로 구성될 것으로 예상됐다. 외국인은 12.1%가 고령인구, 82.6%가 생산연령인구, 5.3%가 유소년 인구가 된다.

이주배경인구는 2022년 220만명에서 2042년 404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다. 같은 기간 총인구에서 이주배경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4.3%에서 8.1%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주배경인구는 본인 또는 부모 중 적어도 한 명이 출생 시 또는 현재 외국 국적인 사람을 가리킨다.

인구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내국인 총부양비는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41.8명에서 81.8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지수는 2022년 151.5명에서 2030년 317.4명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30년이 되면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3배 이상 많아지는 셈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