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출 기업 10곳 중 6곳 "대출 이자가 영업이익 이상"

한국무역협회 2024년 1분기 무역 업계 금융 애로 실태 조사 결과

2024년 1분기 무역 업계 금융 애로 실태 조사. 한국무역협회 제공
2024년 1분기 무역 업계 금융 애로 실태 조사. 한국무역협회 제공

국내 수출 기업 10곳 중 6곳은 영업이익을 온전히 이자를 갚는데 사용하거나 이자도 채 내지 못하는 어려운 여건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무역협회는 지난달 21∼27일 417개 수출 기업 대표와 임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4년 1분기 무역 업계 금융 애로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자 비용이 영업이익과 같거나 초과한다'는 응답이 57.3%에 달한다.

해당 조사는 2022년 4분기부터 정기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면 이같은 응답한 기업의 비율은 최근 4개 분기 연속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매출액 10억원 미만 소규모 기업의 경우 이번 조사에서 '이자 비용이 영업이익과 같거나 초과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72.9%에 달했다.

조사 대상 중 27.5%는 현재 대출 금리가 5∼6% 수준이라고 답했다. 이어 4∼5%(25.9%), 3∼4%(19.2%), 6∼7%(11.8%)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원활한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감당할 수 있는 대출 금리 수준은 '3% 이하'라고 응답한 기업이 48.7%로 가장 많았다.

또 기업들은 건의 사항으로 '금리 부담 완화'(79.7%·복수 응답), '대출·신용보증 한도 확대'(58.5%) 등을 꼽았다. 정부의 금융지원 정책 중 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제도의 경우 '중소기업 가산금리'(49.1%), '고금리 감면'(40.1%), '보증지원 확대'(34.9%), '신산업 우대자금 지원'(34.7%) 순으로 조사됐다.

이인호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고금리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기업들의 자금 사정이 한계에 다다르기 전 정책적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무역협회는 역대 최대 수출 달성에 정책금융이 효과적인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에 기업들의 의견을 수시로 전달하겠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