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 참패 충격에 빠진 당·정·대 수뇌부 인사들이 11일 일제히 사의를 표명했다.
총선에서 정권심판을 원하는 성난 민심이 확인된 만큼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여권에서는 인적쇄신을 신호탄으로 국정 운영 기조 변화에 나서야 한다는 주문이 제기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총선에 나타난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들어 국정을 쇄신하고 경제와 민생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이관섭 비서실장이 대통령실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다음달 10일 취임 2주년을 앞둔 가운데 참담한 '중간평가 성적표'를 받은 윤 대통령으로서는 그동안 지적돼 온 불통 이미지를 탈피하고, 야당과 협치에도 적극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가 윤 대통령에게 사의를 밝혔고, 이어 이관섭 대통령 비서실장을 비롯해 성태윤 정책실장, 한오섭 정무수석 등 국가안보실을 제외한 대통령실 수석비서관급 이상 참모진들 전원이 사의를 밝혔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국민 선택을 받기에는 부족했다"며 총선 참패에 따른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직에서 사퇴했다. 핵심 당직자와 비대위원들도 연이어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지도부가 사실상 공백 상태에 놓였다.
선거 참패 국면이라고는 해도 이처럼 당정대 고위직 전원이 사의를 표명한 전례는 찾기 어렵다고 한다. 그만큼 이번 총선 참패가 뼈아프고, 윤 대통령부터 국정 운영 스타일에 변화를 모색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더불어민주당을 포함한 범야권이 압도적 다수당이 된 만큼 각종 정책과 현안을 추진함에 있어 국회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야당과 긴밀한 협조와 소통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는 남은 임기 3년 동안 이어질 장기적 과제다.
현 정부의 핵심 교육·연금·노동·의료 개혁을 위해 정치권과 소통을 강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야권으로부터 '협치 부족'이란 비판을 받아온 이재명 대표와의 사실상 회담 거부 태도에도 변화가 점쳐진다.
이처럼 야권과 협치를 모색하려면 윤 대통령이 대통령실과 내각의 인적 개편에 나서야 한다는 평가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총리 및 대통령실 참모진이 사의를 표한 것은 총선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진 것일 뿐"이라며 "국정운영과 정책 등 그동안의 잘못을 인정하고 국정 기조 전환 및 쇄신 의미에 맞는 인사를 발탁하는 진정한 쇄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