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와우 멤버십 회원에 ‘구독료 수입 3배 이상’ 돌려주겠다는 쿠팡… 중국 이커머스 경쟁 대응

중국 이커머스 위협에 대응하여 전략적 요금 인상

쿠팡이 와우 멤버십 요금 인상을 결정했다. 이는 중국의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공격적인 시장 확장에 대응하기 위한 쿠팡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매일신문 DB
쿠팡이 와우 멤버십 요금 인상을 결정했다. 이는 중국의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공격적인 시장 확장에 대응하기 위한 쿠팡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매일신문 DB

쿠팡이 와우 멤버십의 월 요금을 기존 4,990원에서 7,890원으로 인상하면서 업계와 소비자 사이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요금 인상의 주된 배경은 중국의 온라인 쇼핑몰인 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국내 시장 침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중국 기업은 극저가 제품을 앞세워 국내 시장을 신속히 잠식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통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쿠팡은 지난 10년간 누적적자 6조원 이상을 기록하며 소비자 혜택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왔다.

쿠팡은 지난해에 처음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이 1.9%에 불과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와우 회원을 위한 무료 배송 및 상품 할인 등에 연간 4조원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투자는 지속 가능성을 위협할 정도로 막대한 비용 부담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멤버십 요금 인상은 쿠팡이 중국 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 등의 경쟁사에 맞서 자금을 확보하고 투자를 지속할 수 있는 여력을 마련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인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를 통해 쿠팡이 더 나은 고객 서비스와 빠른 배송 등을 제공하며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평가하고 있다.

◇새로운 月요금 7,890원, 일반 OTT 반값…쿠팡 "매년 4조원 이상 와우 고객에 돌려주겠다"

1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쿠팡은 와우 멤버십 요금을 기존 4990원에서 7890원으로 올릴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인상은 2021년 말 이후 약 2년 4개월 만에 이루어진 것이며, 신규 멤버십 가입자는 13일부터 새 요금이 적용된다. 기존 멤버는 오는 8월부터 변경된 요금이 적용될 예정이다.

와우 멤버십은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무료 로켓과 당일 배송, 신선 식품의 새벽 배송, 무료 배송 및 직구, 반품 서비스를 포함해 쿠팡플레이 시청까지 가능하다.

쿠팡은 지난해 이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에게 약 4조 원의 절약 혜택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와우 멤버십을 통해 쿠팡이 큰 이익을 낸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회비 대비 3~4배 이상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와우 멤버십의 월 요금이 4,990원일 때의 연간 구독료 총합은 8,383억원이었으나, 7,890원으로 인상 후에는 약 1조3,255억원으로 추정된다.

이와 비교해볼 때, 넷플릭스, 티빙, 디즈니플러스와 같은 다른 OTT 서비스들의 월 요금은 1만3,500원에서 1만7,000원 사이이며, 이들 서비스는 쇼핑 멤버십이 아닌 콘텐츠 중심의 혜택을 주로 제공한다.

쿠팡은 와우 멤버십 가입자들에게 연간 최대 100만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일부 회원은 수년간 3000만원의 절약을 경험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혜택들은 특히 고물가 시대에 소비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현금 100조' 중국 알리와 비교해 쿠팡 수익성 낮지만..."고객과 물류 투자 강화로 대응"

쿠팡이 수익성이 낮은 상황에서 중국 이커머스에 대응해 투자는 늘려야 하는 절박함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중국의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공격적인 시장 확장에 대응하기 위한 쿠팡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쿠팡은 지난해 와우 회원을 대상으로 한 연간 투자 규모가 4조원에 달하는 등 상당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은 매우 낮은 상태다.

실제로, 쿠팡의 지난해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은 1.9%에 불과해 주요 경쟁사들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기업들의 공세에 맞서 국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로 와우 멤버십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쿠팡은 이번 와우 멤버십 가격 인상과 함께, 오는 2027년까지 전국민 5000만명을 대상으로 무료 로켓배송을 확대 시행할 계획을 밝혔다.

향후 3년간의 투자금만 15조원에 이를 전망이며, 이는 국내외 경쟁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투자라고 밝혔다.

이처럼 쿠팡의 전략적 결정은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공세에 적극 대응하고, 내수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를 공고히 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쿠팡의 와우 멤버십 가격 조정은 수익성 개선과 시장 지배력 강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설명하며, "이를 통해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3년간 물류 투자 3조원, 와우 멤버십에 매년 4조원 이상 쏟아부으면 향후 3년간 투자금만 15조원에 이른다"며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중국 공세에 맞춰 기초체력을 확보하기 위해 와우 멤버십 요금 변경은 불가피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와우 멤버십 인상 소식을 들은 이상민씨는 "소상공인으로서 쿠팡 와우 멤버십을 통해 얻는 혜택이 크다"며 "이 정도 인상은 충분히 감내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유튜브 프리미엄보다 싸게 다양한 혜택을 이용할 수 있어 쿠팡 만한 서비스가 없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