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과 햄버거 프랜차이즈들이 메뉴 가격을 인상하는 등 외식·식품·유통가에서 제품 가격 인상 움직임이 두드러지고 있다.
15일 프랜차이즈 업계에 따르면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는 이날 배달 수수료와 인건비, 임대료 상승을 이유로 치킨 9개 제품 가격을 일제히 1천900원씩 인상했다. 굽네가 가격을 올린 것은 2022년 이후 2년 만이다.
글로벌 치킨 브랜드 파파이스도 물가 인상과 인건비, 배달 수수료 등 비용 상승 압박에 이날 치킨, 샌드위치(버거), 디저트류, 음료 등의 가격을 평균 4%(100∼800원) 올렸다. 배달 메뉴는 매장 판매가보다 평균 약 5% 높은 가격을 차등 적용하기로 했다.
프랜차이즈들의 가격 인상은 지난해부터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bhc와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가 각각 가격을 인상했다. 올해 2월에는 신세계푸드가 노브랜드 버거에서 판매하는 버거와 사이드 메뉴 등 30여 종의 판매가격을 평균 3.1% 올렸다.
코코아, 설탕 등 식품 원료 가격 상승에 따라 식품업체도 가격 인상 조짐을 보이고 있다. 롯데웰푸드 등이 초콜릿 제품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통업체도 서비스 가격을 인상했다. 쿠팡은 유료 멤버십인 와우멤버십 월 회비를 4천990원에서 7천890원으로 58.1% 인상했다. 멤버십 회비 인상은 2021년 12월 2천900원에서 4천990원으로 72.1% 올린 이래 2년 4개월 만이다.
한 외식업계 관계자는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며 소비는 생각만큼 살아나지 않는 데다 배달 수수료 부담까지 겹쳐 올해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