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경규제 강화 배터리 소재 업계 탄소중립 '속도전'

EU 전기차 규제 대상 포함 '유로7' 시행…양극재 주요 기업 탄소배출 감축 나서
미국 IRA 등 2차전지 원료 규제에 리사이클링 산업 중요도 높아져

서울의 한 전기차 주차장. 연합뉴스
서울의 한 전기차 주차장. 연합뉴스

환경 규제가 새로운 '무역장벽'이 되면서 국내 2차전지 업계도 탄소중립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럽연합(EU) 이사회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도로 교통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규제 개편안인 '유로7'을 최종 채택했다. 처음으로 전기차, 수소차를 규제 대상에 포함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르면 오는 2026년 하반기부터 전기차도 오염물질 배출 규제가 적용된다.

EU는 배터리 원재료 규정도 신설했다. 2031년부터 배터리 원재료 재활용 최소 비율을 코발트 16%, 리튬 6%, 납 85%, 니켈 6% 등으로 설정했고 향후 비율을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할 계획이다. 또 제품 생산·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총량을 측정하는 '탄소발자국' 신고도 의무화된다.

배터리 소재 기업들은 관련 규제 시행에 앞서 대응력을 높이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폐배터리 재활용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는 등 노력을 지속하고 있는 것이다.

엘앤에프는 배터리 재활용을 포함한 사업 다각화를 추진, 폐배터리에서 원재료를 추출하고 이를 다시 양극재 생산에 활용하는 순환 구조를 확립할 계획이다. 또 친환경 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폐기물·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했다.

에코프로비엠의 경우 순환경제 실현을 위해 폐기물 재활용률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지난해 발간한 첫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매출액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 대비 52%(2022년 기준) 감축하는 데 성공했다. 이 외에도 탄소발자국 인증을 통해 중장기적인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EU 외에도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으로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의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을 받으려면 배터리 원료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에서 공급받아야 하는데, 폐배터리 재활용이 공급망을 안정화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에 대구시는 달성2차 산업단지 내에 사용 후 배터리 활용 기술지원 등을 위한 '2차전지 순환파크'를 조성하고 있다. 해당 구역 내 '사용 후 배터리 시험평가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김필수 한국전기자동차협회장은 "유로7뿐 아니라 프랑스를 비롯한 국가별 원자재 관련 제도가 강화되는 추세"라며 "IRA처럼 자국 우선주의도 팽배해지고 있다. 수입을 막는 규제가 배터리 업계 성장을 가로막을 수 있다. 기업은 물론 정부 차원의 대처가 필요하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