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의료계가 의대 정원 확대 문제를 두고 갈등을 빚은 지 두 달이 다 됐지만 해결의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병·의원에서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도 병·의원을 찾는 환자도 길어지는 의·정갈등과 의료공백 사태가 빠른 시일 안에 해결되기를 바라고 있지만 정부도 대한의사협회(의협)를 위시한 의료계 인사들도 같은 말만 두 달 째 반복할 뿐 논의는 진전조차 되지 않고 있다.
18일 영남대병원에서 만난 한 신장투석 환자는 "병원을 오는 게 불안하다"고 말한다. 전공의 사직이 본격화됐을 때만해도 진료 일정에 크게 손대는 일이 없었는데 의대 교수들이 사직서를 쓴다는 소식을 듣고 나서부터는 영남대병원 교수들도 사직서를 내는 것 아닌가 하는 불안감 때문이다.
아직 영남대병원은 다른 의대처럼 공식적으로 교수들이 사직서 제출을 하지는 않은 상태다. 그럼에도 환자들의 불안은 적지 않다. 오는 25일부터 교수들이 사직서를 낸 의대의 경우 병원 운영이 올스톱 될 수도 있기 때문.
이 환자는 "교수들도 '병원 안 떠나니 걱정말라'는 이야기를 간혹 하기는 하시는데, 전국 병원 분위기가 사직서 내는 분위기면 영남대병원 교수들이라고 가만히 있으시겠나"라며 "어느 날 왔는데 진료 못 받는다는 소리 들을까 그게 가장 큰 걱정"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대구 북부소방서 119구급대가 양수가 터진 산모를 태우고 약 30분간 응급실을 찾아 돌아다녔던 '응급실 뺑뺑이' 사례가 알려지면서 대구경북지역민들도 의료공백에 따른 위험을 피부로 느끼게 됐다. 또 다른 환자는 "정부와 의료계 싸움에 환자 등만 터지는 꼴"이라며 "이제는 정치적인 계산을 접고 양 쪽이 국민만 생각하며 대화에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와 의료계가 사태 해결을 위해 대화 자리에 마주보고 앉는 과정은 계속 답보상태다. 정부는 18일 다음 주 중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출범, 의료개혁 과제를 논의할 방침이지만 의료계에서는 참여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특위 구성이 막바지 단계"라며 "다음 주에는 출범이 가능할 것 같다"고 말했지만 대한의사협회는 특위에 참여할 위원을 따로 추천하지 않았다.
민복기 대구시의사회장은 "특위는 의료개혁 전체를 이야기하는 자리지만 지금 시급히 해결해야 할 부분은 의대 증원과 관련된 부분"이라며 "정부가 의료계와 함께 의대 정원 확대 여부를 논의하는 협의체를 먼저 만들어서 이 부분을 먼저 해결한 다음에 의료개혁 전체를 논의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