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축산항을 해양 역사 관광지로 개발하자

김인현 고려대 교수·환동해 남북경제포럼 위원장

김인현 교수
김인현 교수

동해안 영덕군의 축산항이 올해 개항 100주년을 맞이한다. 축산항은 국가 어항으로, 강구항과 함께 영덕을 대표하는 어항이다. 영덕 대게, 물가자미 등이 주된 어획물로 잡혀서 우리 국민들에게 훌륭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축산항은 1980년대에는 오징어, 명태와 같은 어족이 풍년을 이루었던 곳이다. 최근 동해안의 어항들은 어획고의 감소, 어민들의 고령화 및 선원 부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축산항도 마찬가지이다. 그 많이 나던 명태와 노가리는 자취를 감추었다. 오징어도 최근 어획량이 감소 추세이다. 어촌 소멸 방지는 국가적인 과제가 되었다. 축산항과 같은 곳에 바다나 항구와 관련하여 많은 일자리가 일어나서 사람들이 모여들어야 한다. 어선들의 어획에만 의지할 수 없다. 수산업을 중심으로 기타 산업과 융합하여 일자리를 만들고 수입을 올려야 한다.

축산항은 이웃 영해와 함께 해양 역사 관광지로 만들어 가야 한다. 축산항은 여러 개의 산으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천연항이다. 대게, 물가자미, 방어 등 풍부한 수산물이 있다. 여기에 다른 고장에 없는 역사성까지 갖추고 있다.

고려 말인 1382년 왜구가 동해안에 쳐들어와 큰 피해를 입자 조정은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고자 했다. 그 대책으로 나온 것이 영해성과 더불어 축산포에 수군 만호를 두어 해군을 배치하고 1384년 만호성을 쌓았던 것이다. 종4품인 만호가 주둔했다. 숙종실록에 의하면 울릉도와 독도를 정벌한 안용복 장군이 1696년 2차 도일 시 영해에서 유일부라는 어부를 태웠다는 기록이 나온다. 정박 시설이 있는 축산포에 기항했다고 본다. 순조실록에 의하면 1812년 강원도로 이송 중이던 쌀 1만 석이 항구 내에 빠졌다는 기록이 나올 정도로 축산포는 항구로서 기능도 활발했다.

영해의 괴시마을은 목은 이색 선생의 외가로 유명하다. 관어대에 올라서면 동해안과 넓은 영해평야가 펼쳐진다. 이색 선생은 관어대에 올라 고래가 유영한다는 내용의 시를 남겼다. 인량리 전통마을에 가면 숙종 시절 남인의 거두였던 갈암 이현일 선생의 충효당 등을 볼 수 있다. 이어서 원구에 있는 아름다운 조선시대 건축물인 경수당, 도곡에 있는 임진왜란 시 공을 세운 경주부윤 박의장 생가, 염장의 양대 효자를 철종이 표창한 정효각을 둘러보아도 좋은 역사 관광이 된다.

여기에 돌벽이 남아 있는 축산항의 만호성을 복원해서 추가해야 한다. 수군만호라고 하면 남해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안다. 동해안에 만호가 존재했고, 그 성곽이 남아 있는 곳은 축산항의 만호성이 유일하다. 더구나 고려시대인 1380년경의 역사 유물이다. 고려시대의 유물은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축산 만호성의 복원은 더 큰 역사적인 가치가 있다고 본다. 아름다운 풍광과 생선을 먹을 수 있는 관광에 격조 높은 역사 문화를 담을 수 있기 때문에 국내외의 관광객 유치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바다를 통해 관광객이 유입되기 위해서는 축산항의 선박 정박 시설도 확대되어야 한다.

2021년 11월 26일 개최되었던 축산항 개항 100주년 기념 제1회 학술 세미나가 올해에 이어지면서 축산항이 학자들에 의해 학문적으로 재평가받는 작업도 필요하다. 축산항 개항 100주년을 축하하면서 장차 축산항이 동해안의 해양 역사 관광의 중심지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