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패션디자이너들의 의상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특별전시 '패션디자이너, 문화를 이끈 사람들'이 대구섬유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는 현대 패션 문화의 변화를 이끈 패션디자이너의 역할에 주목한 전시로, 국가등록유산인 군용담요코트, 아리랑드레스를 비롯해 195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문화와 사회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의상들을 선보인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 '코리아, 패션을 만나다'에서는 한국전쟁 이후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패션 문화를 일궈낸 1950년대 디자이너 의상을 전시한다. 최경자가 대구 피난시절 '국제양장사'에서 만들었던 '낙하산지 블라우스', '뉴똥드레스'를 소개한다.
2부 '디자이너, 패션을 만들다'에서는 처음 명동에 양장점을 개업한 한동식이 디자인한 '베이지색 린넨 여름 슈트', 국제복장학원을 졸업한 후 처음 디자인한 앙드레김의 '벨벳코트와 원피스', 피에르 가르뎅을 사사한 조세핀 조가 디자인한 '벨벳드레스', 한계석의 '돌먼슬리브드레스', 이용렬의 '색드레스' 등을 선보인다. 더불어 당시 명동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작가 한영수와 임응식의 사진을 함께 전시해, 당시 거리의 생생한 패션을 엿볼 수 있다.
3부 '디자이너, 문화가 되다'에서는 하나의 문화 아이콘으로 인식되는 국내 정상급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소개한다. 이번 전시는 현대 디자이너들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는 세계패션그룹 한국협회(FGI) 소속 디자이너 이상봉, 루비나, 설윤형, 박동준 등 9인의 작품을 통해 그들이 만들어낸 현대 패션의 아름다움을 선보인다.
대구섬유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명동 문화를 만들어낸 우리나라 1세대 패션디자이너의 의상을 비롯해 정상급 디자이너들의 의상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있는 흔치 않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한국 현대 패션 문화를 이끌어온 디자이너들의 열정과 사랑이 담긴 이야기를 들여다보며,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K-패션의 아름다움을 느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전한길 "사전투표 규칙 개정해야…제2의 홍콩·베네수엘라로 몰락할 수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