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봄 국내 산불 피해 역대 두번째로 적었다

1986년 산불통계 작성 이후 2012년 이어 두번째
국민들의 적극적인 대처와 산불관계기관의 노력
지자체의 예방도 빛나…임차 헬기도 순조롭게 운영

영농부산물 파쇄현장. 산림청 제공
영농부산물 파쇄현장. 산림청 제공

올해 봄 산불발생 피해가 역대 두번째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산림청은 지난 15일 봄철 산불조심기간을 종료하고서 올해 산불발생건수가 175건, 피해면적은 58㏊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1986년 산불통계 작성 이후 2012년 102건(49㏊)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피해가 적은 것이다.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10년 평균 산불발생이 416건(3천865㏊)이었으며 올해는 평균 발생건수에 비해 58%, 피해면적은 98% 감소했다.

또한 올해 건조특보 일수당 산불 발생이 0.5건(21건·40일)으로 지난해 2.6건(249건·97일) 대비 81%가 감소했다.

올해 강수량(341㎜)과 비슷한 2016년(354㎜) 산불 피해(309건·347㏊)와 비교해도 건수는 43%, 면적은 83% 각각 줄었다.

대형 임차헬기의 활약 모습. 산림청 제공
대형 임차헬기의 활약 모습. 산림청 제공

산림청은 올해 산불발생건수와 피해면적이 적은 것에 대해 기상 여건과 함께 국민의 적극적 참여, 산불대응기관 노력 등이 더해진 결과라고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산림청은 산불 주요 원인이었던 소각산불(39건·22%)이 10년 평균(116건·28%) 대비 6% 감소 된 점이 주목할만하다고 언급했다. 소각 대상 폐기물을 지난해 1만4천338톤에서 올해 8.2배 늘어난 14만7천246톤 처리하면서 산 주변 소각 원인을 제거한 것이 산불예방에 큰 효과를 봤다는 설명이다.

또한 올해 처음 도입한 해외 임차헬기(7대)를 차질 없이 운영했고 각 지자체의 산불예방 대처도 큰 효과를 봤다고 산림청은 평가했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산불예방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신 국민 여러분과 산불 대응을 위해 애써 주신 산불관계자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