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수원, 원전 건설·관리에 AI 기술 적용…연내 시범 서비스

“원자력발전소 설계 품질 향상 기대”

한수원이 23일 원자력발전소 형상관리 분야 AI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시연을 하고 있다. 한수원 제공
한수원이 23일 원자력발전소 형상관리 분야 AI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시연을 하고 있다. 한수원 제공

한국수력원자력은 23일 원자력발전소 형상관리 분야에서 인공지능(AI)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올 상반기 내 건설 원전 형상관리 분야에 AI 기술 적용을 위한 본 사업에 착수하고, 연내에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형상관리는 발전소의 구조물, 계통 및 기기들의 특성을 식별해 이를 문서화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는 체계적인 과정이다.

한수원 감사실‧건설기술처‧중앙연구원은 공동으로 형상관리 분야에 AI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맞춤형 언어모델(sLLM)을 구축하고, 주요 설계 관련 문서를 학습해 AI가 문서 내 주요항목에 대한 분석·비교·검토 등을 수행하고 답변할 수 있는 시험용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발판으로 향후 건설 원전에 AI를 적용해 원전의 품질을 끌어올린다는 게 한수원의 방침이다.

최일경 한수원 건설사업본부장은 "향후 신한울 3, 4호기 건설 시 AI 기술을 활용해 안전성을 높일 계획"이라며 "원전 수출 측면에서도 경쟁력 있는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익규 한수원 상임감사위원은 "AI 기술을 활용해 발전소 운영과 안전성을 높이고, 직원들의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켜 미래 기술을 선도하는 한수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