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당시 기획재정부가 국민 불안을 이유로 국가채무비율 장기 전망치를 의도적으로 축소·왜곡했다는 사실이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났다. 핵심은 홍남기 전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을 당초 세 자릿수에서 두 자릿수로 낮추도록 구체적인 방법까지 지시했고, 나주범 당시 재정혁신국장(현 교육부 차관보)은 실무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 차례 이의 제기도 없이 그대로 따랐다는 것이다.
5년마다 실시하는 장기 재정 전망은 올바른 나라 살림의 척도다. 객관성·투명성 확보가 핵심이며, 정권의 입김이 작용하지 않도록 막는 게 원칙이다. 감사원에 따르면, 기재부는 지난 2020년 7월 2060년 국가채무비율 전망치가 153.0% 또는 129.6%라고 보고했다. 이에 대해 홍 전 부총리는 "129%의 국가채무비율은 국민이 불안해한다"면서 구체적인 방법까지 알려주면서 두 자릿수로 낮추라고 지시했다.
정부가 쓰는 돈, 즉 총지출은 '의무지출'과 '재량지출'로 나뉘는데, 정책적 판단이 필요한 재량지출 전망이 변수다. 원래 재량지출만 경상성장률(성장률+물가)에 연동해 늘어난다는 전제에 따랐는데, 총지출까지 연동토록 바꾸라고 지시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채무 비율이 크게 떨어진다는 게 감사원 판단이다. 게다가 저출산·고령화로 의무지출은 늘 수밖에 없는데, 총지출을 경상성장률에 묶어 버리면 국방비·SOC 투자 등 재량지출 확대 여력은 사라지게 된다. 즉 국가의 재정 기능이 불가능해진다.
당시 정부는 기본 전제까지 바꾼 국가채무비율 전망치를 81.1%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번에 감사원이 조세재정연구원과 원래 기준에 따라 정상적으로 산출한 결과치는 148.2%다. 이번 발표로 현 정부의 발등에도 불이 떨어졌다. 감사원 지적을 반영하면 국가채무비율이 치솟기 때문이다. 건전재정을 강조하며 재량지출을 최대한 억제하는 정부로선 난감한 상황이다. 돈을 쏟아부어도 국가채무에 지장이 없다고 큰소리치던 결과가 이렇게 됐다.
댓글 많은 뉴스
"尹 지지율 46% 나와…2030 지지율도 40%대 ↑"
박수현 "카톡 검열이 국민 겁박? 음주단속은 일상생활 검열인가"
'카톡 검열' 논란 일파만파…학자들도 일제히 질타
이재명 "가짜뉴스 유포하다 문제 제기하니 반격…민주주의의 적"
'카톡 검열' 논란에 與 "인민재판 하겠다는 것"…野 "표현의 자유 침해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