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중견기업의 비중이 전국 대비 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부가 제시한 '기업 성장사다리 구축방안'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대구의 중견기업 수는 126곳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공식 집계한 전국 중견기업 수(5천567곳)과 비교하면 2.2%에 해당하는 수치다.
중견기업은 소득 증대와 고용 증진,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도가 높은 편이다. 실제 대구 중견기업의 평균 종사자 수는 293명으로 중소기업(20명)의 10배가 넘는다. 대구지역 중견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약 2천195억원으로 중소기업(약 50억7천만원)과 큰 격차를 보인다.
문제는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기업의 수가 크게 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대구의 경우 중견기업 수가 5년 전인 2018년(115곳)에 비해 소폭 증가했으나, 직전 조사를 실시한 2021년(128곳)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일각에서는 지원사업 참여, 세제혜택을 누리기 위해 중견기업으로 인정받는 것을 꺼리는 '피터팬 증후군(성장을 거부하는 심리상태)'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동차 부품사 A사 대표는 "규모를 키웠을 때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줄어드는 반면, 의무는 더 늘어나는 탓에 굳이 중견기업으로 인정을 받지 않으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예전에는 중견기업으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다는 인식도 있었지만 강소기업으로 내실을 다져도 크게 손해볼 게 없다"고 말했다.
대구경북기계협동조합 관계자는 "중대재해처벌법만 봐도 직원 수가 많은 기업을 대상으로 우선적으로 제도가 적용이 됐다. 올해 들어 50인 미만으로 확대가 됐지만 영세기업을 위해 관련 지원책도 함께 마련하는 추세"라며 "쪼개기(분할)를 해서라도 규모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게 더 유리하다고 보는 것 같다"고 했다.
이에 정부는 기업 성장 사다리 구축을 통해 중소기업의 성장을 유도할 방침이다. 중소기업 기준을 넘어도 세제상 중소기업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는 유예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하는 한편, 유망 중소기업을 선정해 맞춤형 스케일업(규모 확대) 전략을 수립할 예정이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성장사다리 구축에 대해 "안정적인 미래 성장 가능성을 축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면서도 "국가 균형발전 견인의 핵심인 기업 전반의 규모화 전략을 동시에 모색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실효성을 확보하려면 중견기업의 경쟁력을 직접적으로 강화하는 정책을 추가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