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행정통합 힘입어 'TK신공항 한반도 항공물류거점' 현실화되나

2026년 7월 통합자치단체 출범→2029년 TK신공항 조기 개항
인구 500만 도시가 품게 되는 TK신공항…핵심 국가안보기지·산업혁신 거점 기대
중앙정부 대응력 강화로 신공항 사업 추진 한층 수월 전망
신공항 접근 교통망 확충도 당위성 확보

대구경북신공항 공항신도시 조감도. 매일신문 DB
대구경북신공항 공항신도시 조감도. 매일신문 DB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에 따라 향후 국내 공항의 역할과 위상이 대구경북신공항을 중심으로 전면 재편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확산하고 있다.

2029년 TK신공항 조기 개항에 앞서 '2026년 7월 1일 통합 자치단체 출범'이 실현된다면 '한반도 항공물류거점' 현실화는 물론 글로벌 중추 공항으로 나아갈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인구 500만의 한반도 제2도시가 품게 될 TK신공항은 유사 시 인천공항을 대체하는 핵심 국가 안보 기지인 동시에 국내 항공 여객물류의 25% 이상을 책임지는 산업·공간의 혁신 거점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9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따라 단일 행정과 단일 경제권이 갖춰지면 TK신공항 사업 추진에 있어서도 큰 힘이 실릴 전망이다.

현재는 대구경북신공항 건설과 후적지 개발 사업시행자인 대구시가 주도적으로 사업을 이끄는 법적 권한을 갖고 있으나, 행정통합이 되면 신공항 사업 진행의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후속 절차도 속도감 있게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중앙정부 대응력이 대폭 강화되는 것은 물론 중앙정부의 대대적인 권한 이양이 이뤄지면 사업 추진도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복수 화물터미널 설치를 둘러싼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고, 하나의 권역으로 거듭나는 만큼 서대구~신공항~의성을 연결하는 대구경북 광역철도(대구경북선) 등을 비롯해 신공항 접근 교통 인프라 확충에 대한 당위성도 내세울 수 있다.

대구시는 행정통합 효과 극대화를 위해 다양한 규제 완화 방안도 마련 중인 가운데 통합 지자체에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권한 범위를 추가 확대하는 방안 등이 반영되면 각종 개발 사업 추진에 있어서도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미래 항공 및 물류 수요 증가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규모로 조성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국토교통부의 '대구 민간공항 이전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비용편익분석(B/C) 결과가 1.03으로 나타났다. 통상 B/C가 1 이상이면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행정통합을 고려하면 신공항의 미래 확장성에 주안점을 두고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TK신공항은 연간 1천200만명 이상 이용하는 대규모 물류·여객 복합공항으로 건설되며, 화물 수요는 대구공항 화물량 3만5천톤(t) 대비 5배 이상 증가한 15만2천t~21만8천t으로 예상되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달 "대구경북신공항은 통합된 500만 대구직할시의 경제력이나 위상에 맞는 국제공항으로 지역 백년대계에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