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치를 18개팀 확정…한국·일본·이란은 물론, 북한·인니도 참가

중국은 한국에 졌지만, 태국과 상대 전적에서 앞서 극적으로 진출
한국 사령탑 희비 엇갈려…인니 통과 반면 베트남·말레이는 탈락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3차 예선) 진출 확정된 18개 팀. AFC 제공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3차 예선) 진출 확정된 18개 팀. AFC 제공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최종 예선)에 참가할 18개 팀이 모두 확정됐다.

1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C조 6차전 한국과 중국의 경기. 대표팀 선수들이 승리 후 김도훈 임시 감독 및 코칭 스태프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C조 6차전 한국과 중국의 경기. 대표팀 선수들이 승리 후 김도훈 임시 감독 및 코칭 스태프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 2차 예선 기간에만 위르겐 클린스만(독일) 전 감독과 황선홍 전 임시 감독을 거쳐 김도훈 임시 감독 체제로 이어지는 우여곡절 끝에 C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한국은 싱가포르와 중국, 태국과의 맞대결에서 승점 16(5승 1무), 득실차 +19(20득점·1실점)를 기록하며 이들과 압도적인 경기력 차이를 보였다. 6월 FIFA 랭킹 아시아 3위 자리도 지키면서 톱시드(포트1)를 받고 최종예선으로 향하게 됐다.

한국과 함께 중국도 극적으로 3차 예선에 진출했다. 중국은 11일 한국에 0대 1로 지면서 같은 날 싱가포로에 3대 1로 승리한 태국과 승점(8)과 득실차(0), 다득점(9)까지 모두 동률을 이뤘지만, 상대전적에서 1승 1무로 앞서며 가까스로 2위를 기록했다.

일본은 예선 B조를 부전승 포함 6전 전승(승점 18)에 24득점·무실점의 기록으로 무난히 1위로 통과했다. 북한 또한 승점 9(3승 3패)로 B조 2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이에 따라 3차 예선에서는 '남북전'이 펼쳐질 가능성도 있다.

한국·일본과 함께 최종예선 톱시드에 배정된 이란을 비롯해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2연패를 달성한 카타르도 이변 없이 2차 예선 관문을 통과했다.

11일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2차예선 조별리그 F조 최종전에서 경기를 지켜보고 있는 신태용 감독. 연합뉴스
11일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2차예선 조별리그 F조 최종전에서 경기를 지켜보고 있는 신태용 감독. 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한국인 사령탑들의 희비도 엇갈렸다.

신태용 감독은 인도네시아가 F조 2위로 사상 첫 최종예선 무대에 오르는 기적을 만들어냈다.

인도네시아는 11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열린 필리핀과의 2026년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조별리그 F조 최종전에서 2대 0으로 이겼다. 이로써 인도네시아(승점 10)는 3위 베트남과의 격차를 벌리며 조 2위를 확정했다.

반면 인도네시아와 같은 조에 편성됐던 김상식 감독의 베트남은 이라크와의 원정 최종전에서 1대 3으로 지면서 최종 3위를 기록, 아쉽게 2차 예선 관문을 통과하지 못했다. 김판곤 감독이 이끈 말레이시아 또한 대만과의 조별리그 D조 최종전에서 3대 1로 이겼지만, 같은 조의 키르기스스탄이 오만과 1대 1 비기면서 최종 3위로 눈물을 삼켜야 했다.

한편 3차 예선 조 추첨은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