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뉴스In] SNS에서 제2의 언어 '이모지와 이모티콘'

◆한국인이 열광하는 이모지와 이모티콘
◆국제 표준으로 생성 활용 소멸되는 이모지
◆개별 상황과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해야

카카오톡 무료 이모지. 카카오톡 갈무리
카카오톡 무료 이모지. 카카오톡 갈무리

이모지와 이모티콘은 모바일 세상에서 '제2의 언어'다. 때론 제1의 언어로 활용된다. 스마트폰에서 문자와 동급이다. 가끔 글자보다 표현이 다양하고 상황을 묘사하는 데 더 정확하다.

젊은층에서는 일상과 뗄 수 없는 존재가 됐다. KB경영연구소는 최근 '새로운 소통 트렌드 이모지·이모티콘' 보고서를 통해 기업의 활용 사례를 발표했다.

◆한국인이 열광하는 이유는?

미국 소프트웨어 회사 어도비(Adobe)의 '크리에이티브의 미래: 2022 글로벌 이모지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비대면이 보편화되면서 전 세계인은 전반적으로 이모지를 활용한 소통에 편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모지(emoji) 일본어에서 그림을 뜻하는 한자 絵와 문자를 뜻하는 한자 文字의 합성어다. 이미지로 감정과 의사를 표현하는 그림 문자로 등의 형태다.

이모티콘(emoticon)은 감정을 뜻하는 영어 단어 'emotion'과 유사 기호를 의미하는 'icon'의 합성어. 컴퓨터 자판의 문자·기호·숫자 등을 조합해 만든 사람의 특정한 감정, 의사를 표현하는 그림 문자로 ^ ^, (T_T), (-_-) 등의 형태로 나타냈다.

즉 이모지는 그림 자체로 의미를 표현하는 데 비해 이모티콘은 문자·기호·숫자 등 텍스트를 조합해 만든 그림 형태로 감정을 나타냈다.

특히 한국은 이모지와 이모티콘에 열광했다. 어도비에 따르면 한국인은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56%)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말보다 이모지와 이모티콘이 효과적이라고 대답했다.

특정 단어를 이모지와 이모티콘으로 대체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전 세계 평균(68%)보다 높은 76% '그렇다'고 응답했다. 한국인 응답자의 93%는 이모지와 이모티콘 사용 시 대화 상대방에게 공감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에 동의했다.

왜 한국인 이모지와 이모티콘을 좋아할까? 한국어의 특징과 관련이 있다. 영어나 프랑스어는 문자 그대로 의미를 전달하는 '직관적' 성격이 강하지만 한글은 상황이나 맥락을 봐야 하는 '복합적 해석'이 더 필요하다. '밥 한 끼 하자'는 말은 실제 식사 여부도 중요하지만 고맙다는 의미도 내포돼 있다.

한국인이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감정 단어'는 430여 개로 다른 언어보다 월등히 많다고 한다. 의성어나 의태어 비율 역시 높다. 비대면 문자로는 소통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그만큼 높다는 것이다. 이모지와 이모티콘이 비대면 문자 보완 언어로 뛰어난 기능을 발휘하는 이유이다.

실제 대다수 한국인 응답자(86%)는 직장에서도 이모지를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상당수 응답자가 이모지가 직장 동료에 대한 호감도(82%)와 신뢰도(78%)를 높이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이모지를 사용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팀과 회사에 유대감을 느낀다는 응답률도 81%로 전 세계 평균(66%)보다 높았다.

사진= 트레져헌터 제공
사진= 트레져헌터 제공

◆국제 통용되는 이모지, 어떻게 만들어지나

이모지와 이모티콘이 하나의 국제 통용어로 성장한 덕분에 국제표준을 정하는 움직임도 있다. 구글과 애플은 2011년 이모지 유니코드(Unicode)화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표준화 이후 애플이 국제 표준 코드에 이모지 키보드를 추가해 전 세계적으로 활용됐다.

세계의 모든 문자를 다루도록 설계된 표준 문자 전산 처리 방식인 유니코드를 규율하는 '유니코드 컨소시엄'은 매년 4월 15일부터 8월 31일까지 PNG 파일 형태로 새로운 이모지를 접수한다. 가이드라인에 맞춰 심사·승인·관리 감독하고, 업데이트한 새로운 이모지를 발표한다.

7월 17일은 '세계 이모지의 날'이다. 해마다 변화된 시대 상황과 다양한 문화 및 트렌드에 맞추어 새로운 이모지가 탄생되고 부적절한 것은 사라진다. 성별·인종·성 소수자 인권 등 사회적 다양성을 고려하여 많은 변화가 나타난다.

일례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모든 사람이 마스크를 쓰게 되자 '마스크 쓴 이모지'는 주로 환자를 상징하는 '처진 눈'에서 '웃는 눈'으로 변경됐다.

카카오는 2017년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를 오픈하면서 누구나 손쉽게 자신의 캐릭터를 제안하고 이모티콘으로 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됐다.

카카오 이모티콘 4탄
카카오 이모티콘 4탄 '푸바오는 우리 언니'가 출시 하루 만에 종합 인기 순위 1위를 기록했다고 에버랜드가 14일 밝혔다. 사진은 에버랜드가 지난 13일 선보인 판다 가족 테마 카카오 이모티콘 4탄. 연합뉴스

◆적절하게 사용

이모지와 이모티콘의 파급력이 갈수록 커지면서 사회적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이모지의 사회적 윤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카카오는 '이모티콘 창작자 윤리 지침'에 따르면 ▷특정 개인·집단을 멸시하거나 조롱하는 표현 ▷학교폭력 등 집단 괴롭힘 관련 표현 ▷외모를 평가하거나 비하하는 표현 ▷특정 질병·장애를 희화화하는 표현 ▷특정 종교를 희화화하는 표현 등이 담긴 이모지와 이모티콘은 출시 자체를 금지한다.

이모지와 이모티콘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개별 상황과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 문화권에 따라 의미가 다를 수 있고, 특정 이모지에 여러 의미를 담고 있어 주관적 해석으로 인한 오해 발생할 수 있어서다.

예컨대 엄지손가락을 치켜드는 이모지는 서양에서는 긍정적 의미이지만 일부 중동 국가에서는 공격의 의미로 이해된다.

이모지·이모티콘을 남용하면 전달하려는 내용의 의미를 약화시키고 상대에게 피로감을 줄 수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