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8일 집단휴진 불참 의사단체 점점 늘어

뇌전증, 분만, 마취통증, 아동병원 협의체 휴진 불참선언
뇌전증협의체 “치료중단하면 환자 사망위험 높아져”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18일 전면 휴진을 예고한 가운데 정부는 이르면 14일 집단 휴진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을 일반에 공개할 것으로 보이고 있다. 한편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에 이어 대학병원의 뇌전증 전문 교수들은 의협의 집단 휴진에 불참을 선언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의 한 의원 입구에 게시된 진료시간 안내문.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18일 전면 휴진을 예고한 가운데 정부는 이르면 14일 집단 휴진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을 일반에 공개할 것으로 보이고 있다. 한편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에 이어 대학병원의 뇌전증 전문 교수들은 의협의 집단 휴진에 불참을 선언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의 한 의원 입구에 게시된 진료시간 안내문. 연합뉴스

의료계의 집단휴진이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휴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단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의료계 등에 따르면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에 이어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가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집단휴진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15일 밝혔다.

이 협의체는 대학병원의 뇌전증 전문 교수들이 모인 단체다.

협의체는 "뇌전증은 치료 중단 시 신체 손상과 사망 위험이 수십 배 높아지는 뇌질환으로 약물 투여 중단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며 "협의체 차원에서 의협의 단체 휴진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의협의 단체휴진 발표로 많은 뇌전증 환자와 가족들이 혹시 처방전을 받지 못할까 불안과 두려움에 떨고 있다"며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은 갑자기 약물을 중단하면 사망률이 일반인의 50~100배로 높아진다"고 덧붙였다.

협의체는 의협 등의 집단행동과 관련 "환자들의 질병과 아픈 마음을 돌보아야 하는 의사들이 환자들을 겁주고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을 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분만병의원협회가 진료를 유지하겠다고 밝혔고, 대한마취통증의학회도 필수적인 수술에 필요한 인력은 병원에 남아 진료를 지원하겠다고 입장을 표했다.

지난 13일에는 전국 120여곳 아동병원이 속한 대한아동병원협회가 "의협의 투쟁에 공감하지만 환자를 두고 떠나기 어렵다"며 진료를 유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