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4일제' 곧 실현되나…근로시간 본격 논의에 우려 확산

서울 종로구 청계천 인근에서 직장인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종로구 청계천 인근에서 직장인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 4일제 전환' 등 근로시간 개편 방안 등을 논의할 노사정 사회적 대화가 이번 주에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16일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오는 21일 의제별 위원회인 '일·생활 균형위원회'를 발족시키고 1차 전체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노사정 추천 위원과 공익위원 등 12명의 위원들은 앞으로 1년간(연장 가능) 장시간 근로 해소를 위한 근로시간 단축 및 유연성, 건강권 보호 및 일하는 방식 개선 등을 논의한다.

일·생활 균형위원회에서 다룰 근로시간은 노사정 사회적 대화 의제 중에서도 가장 갈등이 첨예하고 일반 국민에게 민감한 주제 중 하나다.

노사정 모두 장시간 근로를 해소해야 한다는 데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구체적으로 근로시간 '제도'를 어떻게 개편할지에 대해선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노사정이 합의로 정한 의제에 근로시간 '단축'과 '유연성'이 나란히 들어간 것도 이 때문이다.

경영계는 기본적으로 기업들이 현재의 주 52시간(법정근로 40시간+연장근로 12시간) 근무제를 더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초과근무를 할 수밖에 없는 특정 상황 하에서는 1주일 52시간보다 더 근무를 시킬 수 있도록 허용돼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 역시 기본적으로 주 52시간제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더 유연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난해부터 근로시간 개편안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노동계는 근로시간 유연화가 결국 장시간 노동으로 이어지고, 노동자의 건강권을 침해할 것이라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양측의 간극이 큰 만큼 쉽지 않은 논의 과정이 예상된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모두 '주 4일제'를 22대 국회 우선 입법과제를 꼽고 있다.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기자들과 만나 "장시간 노동을 좀 자제해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다"면서도 "제한된 시간 안에서 최저 근로시간을 생각하기보다는 좀 더 넓게 생각해야 한다"며 근로시간의 '유연성'을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