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집단 휴진 대비 비상 진료체계 운영

야간·휴일 진료 확대, 소아 응급의료기관 지정
한덕수 “의대증원 무효 수용 어려워” 선그어

한덕수 국무총리가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18일 의료계 집단휴진을 앞두고 응급환자의 진료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 진료체계를 운영한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의 비상 진료역량 강화를 위해 △야간·휴일 진료 단계적 확대 △소아 응급책임의료기관 지정 △지역별 전담관 지정 △공공보건의료기관 병상 최대치 가동 등을 할 예정이다.

경증·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비대면 진료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방의료원과 보건소, 보건지소 등 공공보건의료기관을 활용하고, 지자체에 의료기관 전담 책임관을 지정해 어르신 등에게 비대면 진료 방법을 설명한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집단 휴진에 대해 환자와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한 총리는 "우리 사회 전체에 큰 상처를 남기고 의사와 환자가 수십 년에 걸쳐 쌓은 신뢰를 무너뜨리는 일"이라며 "몸이 아픈 분들이 눈물로 집단휴진을 멈춰달라고 호소하는데도 지금 이시간까지 의료계가 집단휴진 결정을 바꾸지 않고 있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비판했다.

한 총리는 "정부는 이미 복귀 전공의들에 대해 어떤 불이익도 없을 것임을 명확하게 약속했다. 다만 헌법과 법률에 따른 조치를 시간을 거슬러 아예 없었던 일로 만들라는 말은 몇 번을 고심해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의대 정원 증원 백지화는 수용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한편, 정부는 의료계의 집단 휴진일에도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의료기관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안내할 예정이다.

관련 정보는 보건복지부 콜센터(129), 119구급상황관리센터, 건강보험공단(1577-1000), 심평원(1644-2000)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