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직장인 10명 중 7명 “최저시급 1만1,000원 돼야”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최저시급이 1만1천원은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직장갑질119에 따르면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내년도 최저시급이 1만1천원(월 230만원) 이상이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67.8%에 달했다.

조사 결과 1만1천원(월 230만원)이 40.4%로 가장 많았고 1만원(월 209만원) 이하 22.3%, 1만2천원(월 251만원) 16.5%, 1만3천원(월 272만원) 이상 10.9% 순이었다. 1만1천원은 올해 최저임금(9천860원)보다 11.6% 인상된 금액이다.

'물가 인상으로 실질 임금이 줄었느냐'는 질문에는 '매우 동의한다'(39.5%), '동의하는 편이다'(49.0%) 등 동의 의견을 낸 응답자가 88.5%나 됐다.

실질 임금 감소는 추가 노동으로 이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의 41.2%는 직장을 다니면서 추가 수입을 위해 다른 일을 병행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물가 상승으로 생활비가 부족해서'와 '월급만으로는 결혼, 노후, 인생계획 수립이 어려워서'라는 응답이 각각 53.2%, 52.9%(복수응답 가능)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0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한편, 일·생활 균형을 모색하기 위해 근로시간 개편 방안 등을 논의하는 노사정 사회적 대화가 이번 주에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오는 21일 '일·생활 균형위원회'를 발족시키고 1차 전체회의를 개최한다.

위원회는 앞으로 1년 간 ▷장시간 근로 해소를 위한 근로시간 단축 및 유연성 ▷건강권 보호 ▷일하는 방식 개선 등을 논의하게 된다. 특히 이 가운데 근로시간은 의제 중에서도 가장 갈등이 첨예하고 일반 국민에게 민감한 주제 중 하나여서 논의 과정이 험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영계는 기본적으로 기업들이 현재의 주 52시간(법정근로 40시간+연장근로 12시간) 근무제를 더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부도 기본적으로는 주 52시간제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유연하게 운영하는 방향으로 지난해 근로시간 개편안을 내놓은 바 있다.

반면 노동계는 근로시간 유연화가 결국 장시간 노동으로 이어지고, 노동자의 건강권을 침해할 것이라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모두 '주 4일제'를 22대 국회 우선 입법과제를 꼽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