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집단 휴진은 환자 사형선고" 휴진 예고에 거세지는 여론의 반발

환자·시민·노동단체 모두 휴진 철회 촉구
일부 의사들도 "휴진 명분 없다"며 참여 않기로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17일 오전 국회 앞에서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 관계자 등이 의사 휴진 철회를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17일 오전 국회 앞에서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 관계자 등이 의사 휴진 철회를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주도하는 18일 집단 휴진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여론의 반발도 매우 거세지고 있다. 환자단체와 시민단체는 물론 의사 내부에서도 집단 휴진에 대한 반대와 자성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대구참여연대는 17일 성명서를 내고 의사들의 집단휴진 철회를 요구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대구참여연대는 의협의 집단휴진에 대해 "그동안 대안을 내놓고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해야 했음에도 책임 있는 행동을 보이지 않다가 이제 와 전공의들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휴진 결정을 내린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대학병원은 그 지역 최고의 병원이자 최중증 환자 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데 이들마저 집단휴진에 참여하는 것은 시민을 배신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서울대병원이 휴진에 돌입한 17일 한국환자단체연합회(환단연)는 이와 관련해 "환자의 불안과 피해를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로 쓰고 있다"고 규탄하며 철회를 촉구했다. 환단연은 이날 낸 입장문에서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가 환자의 불안과 피해라면 그 어떤 이유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의사와 함께 일하는 보건의료 노동자들도 집단 휴진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 한국노총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의료노련)은 17일 "의협의 집단휴진 결정과 대학병원 교수들의 동참은 명분도 정당성도 없는 불법적 집단행동"이라며 의사들의 집단휴진으로 피해가 발생하면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또 환자 진료를 거부하고 해태하는 의사의 행위에 대해 조합원들이 협조하지 않도록 조치하겠다는 방침도 분명히 했다.

일부 의사들도 집단 휴진에 대해 반대와 우려의 의견을 표하고 있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인의협)는 17일 성명을 통해 "의대 교수들의 진료 중단은 벼랑 끝에 놓인 환자들의 등을 떠미는 행위"라며 "일부 의대 교수들이 정부와 전공의 간 중재자 역할을 포기하고 의사 증원 반대 투쟁에 앞장서는 현 상황에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이에 반대함을 분명히 한다"고 말했다.

홍승봉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 위원장은 "의사의 단체 사직과 휴진은 중증 환자들에게 사형선고와 다름없다"며 "나의 사직, 휴진으로 환자가 죽는다면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정당화될 수 있을까"라며 의료계의 집단 휴진에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10년 후에 나올 1천509명(2025년 증원분) 의사는 그때 전체 의사의 1%에 해당하는데, 1%가 늘어난다고 누가 죽거나 한국 의료가 망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10년 후에 증가할 1%의 의사 수 때문에 지금 환자들이 죽게 내버려 두어도 된다는 말인가"라고 덧붙였다.

병원을 오가는 환자들의 걱정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미 '빅5'라 불리는 서울 대형 상급종합병원은 초진 환자를 받지 않는다는 소식에 암 환자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인터넷 카페는 절망의 목소리가 가득하다.

한 암환자 가족은 "매일 힘들고 아픔과 슬픔에 지쳐가는 암환자들을 보면서 휴진이라니 해도 너무하다"며 "의사는 결국 직업일 뿐인데 의사를 제외한 사람들 위에 군림하겠다는 생각은 이제 그만할 때 아닌가"라며 휴진을 비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