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직장인 10명 중 7명은 '환승이직'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가 전국 20∼40대 정규직 근로자 1천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근로자 이직 트렌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9.5%가 '이직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연령대 별로는 ▷20대 83.2% ▷30대 72.6% ▷40대 58.2%로 집계돼 나이가 낮을 수록 이직을 고려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들이 이직을 고려하는 가장 큰 이유(복수 응답 가능)는 '금전 보상' 불만족으로 61.5%에 달했다. 이어 '과도한 업무량'(32.7%), '기대보다 낮은 평가'(27.4%), '회사실적 부진 등 미래에 대한 불안'(26.6%), '개인적 성장을 위해'(25.7%) 등 응답도 있었다.
응답자 3명 중 2명은 이직을 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67.8%가 '이직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나머지 32.2%는 현 직장만 근무하고 있다.
이직에 성공한 요인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56.3%가 선택한 직무 관련 경력이다. 또 '차별화된 직무 역량'(27.9%), '직무 관련 자격증'(7.3%), '인맥 관리'(5.8%) 순이었다.
응답자의 절반은 이직을 연봉 인상 수단으로 여기고 있었다. 응답자 49.5%는 이직이 갖는 의미에 대해 '연봉 인상 수단'이라고 답했다. 이어 '개인적 성장 기회'(31.8%), '역량 검증 수단'(12.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직 유경험자 10명 중 7명은 직장을 옮기면서 연봉이 올랐다. 이직 전 대비 ▷1∼10% 상승 33.8% ▷11∼30% 상승 27% ▷30% 초과 상승 7.7%로 집계됐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젊은 직장인을 중심으로 이직을 계획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점차 옅어져 가는 상황"이라며 "이직의 가장 큰 동기가 금전적 보상과 연관된 것으로 조사된 만큼 기업은 우수 인재 이탈 방지를 위해 직무·성과 중심 임금체계 도입 등 공정한 평가·보상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