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북러 회담] 美, 김정은-푸틴 협정체결에 "북러협력 심화 크게 우려할 일"

국무부 "북러 탄도미사일 등 거래, 안보리 결의 명백한 위반" 경고
日, 북러 결속에 "안보 관점서 심각히 우려…북핵 포기 요구"

북한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이 19일 평양에서 열린 갈라 콘서트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한 방문을 마친 뒤 다음 행선지인 베트남으로 향했다. 연합뉴스
북한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이 19일 평양에서 열린 갈라 콘서트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북한 방문을 마친 뒤 다음 행선지인 베트남으로 향했다. 연합뉴스

미국 정부는 19일(현지시간) 북한과 러시아가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이하 협정)을 체결한 데 대해 "북러 협력 심화는 크게 우려할 추세"라며 동맹 및 파트너 국가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러시아와 북한의 협력 심화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고, 세계적인 비확산 체제를 지지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러시아의 잔혹한 침략에 맞서 우크라이나 국민의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크게 우려할 추세"라고 밝혔다.

국무부 대변인은 또 "우리는 어떤 나라도 푸틴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을 촉진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러시아는 노골적으로 유엔 헌장을 위반하고 있으며, 국제 시스템을 훼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북한에 대해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여러 차례 타격하는 데 사용한 탄도미사일 등 무기 및 관련 물자를 북한이 (러시아에) 이전하고 러시아가 조달한 것은 구속력 있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대변인은 "우리는 한동안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협력 심화에 대해 경고해왔다"며 "우리는 우크라이나와 인도·태평양의 동맹국들을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20일 북러 조약 체결과 관련, "우리나라(일본)를 둘러싼 지역 안전보장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의 관점에서 심각하게 우려한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는 북한 핵·미사일 계획 포기를 요구하는 국제사회 의사가 반영된 것"이라면서 "러시아가 안보리 결의를 명백하게 위반해 북한으로부터 조달한 무기와 탄약을 우크라이나에 사용하는 상황에서 푸틴 대통령이 대북 제재 재검토를 주장한 것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한국 외교부도 이날 북한과 러시아가 전날 정상회담에서 군사기술 협력에 나서겠다고 밝힌 데 대해 유감의 뜻을 밝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우리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와 북한이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을 체결하고 안보리 결의를 정면 위반하는 군사기술 협력 등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데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