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얼차려 중대장' 구속영장 앞두자 훈련병 부모에 연속 사과…"위기 피하려, 2차 가해"

30일 오전 전남 나주시 한 장례식장 야외 공간에서 얼차려 중 쓰러졌다가 이틀만에 숨진 훈련병에 대한 영결식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30일 오전 전남 나주시 한 장례식장 야외 공간에서 얼차려 중 쓰러졌다가 이틀만에 숨진 훈련병에 대한 영결식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육군 제12사단에서 규정에 어긋난 군기 훈련(얼차려)을 시키다 고(故) 박모 훈련병을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 여성 중대장(대위)이 유족에게 뒤늦게 지속적으로 사과 문자를 보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군인권센터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중대장은 훈련병이 쓰러진 뒤 어머니와 전화할 때 죄송하다는 말 한번 한 적 없고, 빈소에도 찾아오지 않았다"며 "구속영장 신청을 앞둔 17일과 구속영장 청구를 앞둔 19일에 갑자기 어머니에게 '사죄를 드리기 위해 찾아뵙고 싶다'며 계속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군인권센터는 "사죄 연락 한번 없던 중대장이 수사가 본격화되자 사죄를 운운하며 만나자고 요구하는 것은 구속 위기를 피하려는 속셈으로 의심된다"며 "유가족들은 중대장이 반복적으로 진정성 없는 사죄 문자를 보내는 데 대해 극심한 스트레스와 분노를 느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족들은 중대장의 진정성 없는 사죄 문자에 극심한 스트레스와 분노를 느끼고 있으니, 중대장은 '사과받기'를 종용하는 2차 가해를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제12사단 측도 고 박 훈련병 부모에게 만나줄 것을 강요하고 있다. 제12사단 관계자는 고 박 훈련병 부모에게 '추모비 건립을 위해 설명할 것이 있다'며 지난 19일 서울 용산역 광장에 차려진 분향소에 찾아가겠다는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는 게 센터의 주장이다. 해당 관계자는 부모가 답하지 않자 고 박 훈련병 형에게까지 연락해 위치를 물었다고 한다.

군인권센터는 "고 박 훈련병 부모는 '추모비 건립은 나중 문제니 관련 논의를 잠정적으로 중단해달라'는 뜻을 전해왔다. 제12사단이 이 문제로 더는 괴롭히지 말라고 한다"면서 "가해자도, 군도 매우 부적절한 방식으로 유가족의 고통을 키우며 사건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노심초사하고 있다. 춘천지법은 가해자들을 반드시 구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경찰은 지난 18일 규정에도 없는 얼차려를 지시한 신병교육대 중대장 강 대위와 부중대장 남모 중위에 대해 군형법상 직권남용 가혹행위 및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검찰은 영장을 청구했고, 오는 21일 춘천지법에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이 열릴 예정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