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충원 안장' 故 변희수 하사 추모식 "인권 역사 전진"

23일 오후 서울 용산역광장에서 열린 고 변희수 하사 순직 결정 및 대전현충원 이장 시민 추모대회에서 윤선주 군인권센터 군성폭력상담소 상담팀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오후 서울 용산역광장에서 열린 고 변희수 하사 순직 결정 및 대전현충원 이장 시민 추모대회에서 윤선주 군인권센터 군성폭력상담소 상담팀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성확정 수술을 받은 사실을 공개한 후 군에서 강제 전역 조치를 당한 채 스스로 목숨을 끊은 고 변희수 하사의 국립대전현충원 안장을 앞두고 권인권센터 등 시민단체와 시민들이 23일 추모식을 열었다.

군인권센터는 이날 서울 용산구 용산역 앞에서 '변희수 하사 순직 결정 및 대전현충원 이장 시민 추모대회'를 진행했다.

지난 2021년 사망한 변 하사는 여군으로 계속 복무하길 원했지만 트랜스젠더라는 이유로 군으로부터 강제 전역당했다. 이후 사망 3년여 만인 지난 4월 순직을 인정받았고 지난 5일에는 대전현충원 안장이 결정됐다.

이날 추모대회에 온 시민 중 일부는 트랜스젠더를 상징하는 분홍색과 파란색이 섞인 깃발이 그려진 티셔츠와 배지 등을 착용했고 몇몇은 연대 발언을 듣다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무대에 오른 윤선주 군인권센터 부설 군성폭력상담소 상담팀장은 "한때 저는 세상을 향해 목소리를 내는 희수님이 무모해 보여 걱정이라는 포장을 씌워 어린아이로 단정 지었던 것 같다"며 "하지만 지나고 보니 희수님은 스스로 책임질 줄 알았던 어른이었다"며 울먹였다.

국가인권위원회에서 변 하사의 순직 인정 재심사 권고를 주도했던 박찬운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평등이라는 문제는 누구나 다 아는 문제인데, 현실을 보면 곳곳에서 차별이 이어지고 있다"며 "우리는 모두 더는 차별 없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이념으로 이 자리에 왔다"고 말했다.

앞서 일부 기독교 단체 등은 변 하사 안장식이 예정된 24일 대전현충원 앞에서 반대 집회를 예고했다.

김형남 군인권센터 사무국장도 "혐오 세력이 변 하사 생전에도 많은 상처를 남겼는데 지금도 그렇게 하고 있다"며 "변 하사 안장에 반대하는 집회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는데 사자명예훼손과 장례방해 혐의 등으로 관용 없이 처벌되도록 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변 하사의 안장식은 24일 오후 3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