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른 더위에 이어 6월 폭염일수 최다…전력수요·물가 폭등 예고

이달 24일까지 폭염일수 2.7일…평년 4배 넘어
폭염에 물가 오르는 '히트플레이션' 가능성 제기

대구 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18일 대구 중구 김광석다시그리기길 인근에 설치된 쿨링포그(안개형 냉각수)에서 한 학생이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 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18일 대구 중구 김광석다시그리기길 인근에 설치된 쿨링포그(안개형 냉각수)에서 한 학생이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이른 더위로 전체 전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한 데 이어 올해 6월 폭염일수가 최악의 폭염이었던 2018년을 넘을 것으로 전망됐다. 기후위기로 촉발된 폭염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24일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에 따르면 6월 1∼24일 폭염일수(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의 수)는 2.7일로 이미 평년(1991∼2020년 평균) 6월 한 달 폭염일수인 0.6일의 4배가 넘었다.

올해는 이른 더위로 전년 대비 6월 최대전력이 더 빨리 올라가고 있다. 전력거래소는 이날 오후 4~5시대 최대전력이 77.4GW(기가와트)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전력수요는 여름철로 구분하는 6월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이 시간대 공급 예비율은 17.95%, 공급 예비력은 13.797GW였다.

지난달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뜨거운 달로 기록되고 6월 폭염일수도 늘어나자 주요 작물 생산 차질로 물가가 오르는 등 '히트플레이션'(열+인플레이션)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미 미국 북동부와 중서부 지역에 예년보다 이른 '열돔'(뜨거운 공기를 대지에 가두는 현상)으로 화씨 100도(섭씨 37.8도)를 넘는 폭염이 발생하면서 농작물 가격이 줄줄이 올랐다. 미 시카고 상품거래소의 밀 선물 가격은 올해 3월 부셸(27.2㎏)당 5.2달러에서 5월 말에는 7달러까지 약 35% 급등했다.

한국은행 역시 최근 물가 안정목표 상황 점검회의에서 폭염 등 일시적인 기온(1도) 상승 시 사과 등 국내 농산물 가격 상승률이 0.4~0.5% 포인트(p) 오르고 그 영향은 6개월 동안 지속된다고 밝혔다.

폭염 등 기후 변화로 상승하고 있는 국제 원자재 가격이 물가 상승을 부추길 것이란 지적도 있다. 김재훈 대구대 경제학과 교수는 "세계적으로 폭염 등 이상 기후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옥수수 등 곡물 생산에도 차질이 빚어지는 중"이라며 "우리나라는 농산물 자급률이 낮고 쌀 이외 곡물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물가 상승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