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근거없는 지라시에 대기업 주가 출렁…공정불량·구조조정에 건강 이상설까지

삼성전자 웨이퍼 폐기 1조원 피해·HBM 납품 차질? 사실 무근
SK그룹 구조조정·정몽구 현대차 명예회장 건강 이상 모두 '뜬소문'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연합뉴스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연합뉴스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근거 없는 지라시(증권가 정보지) 확산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공정불량과 구조조정은 물론 때아닌 사망설까지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주가에 타격을 입는 경우도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6일 '파운드리 반도체 대량 결함·폐기설'로 곤욕을 치렀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반도체 웨이퍼 생산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했다는 내용이 퍼진 것이다. 삼성전자는 서둘러 "사실무근"이라며 사태 수습에 나섰으나, 증권시장 개장 직전 관련 내용이 보도되면서 삼성전자의 주가는 개장 직후 8만원선이 무너지기도 했다.

여의도 증권가를 중심으로 돈 지라시에는 "삼성전자 웨이퍼뱅크 내에서 사고가 발생해 웨이퍼 20만장 전량 폐기를 검토 중이며 피해 규모는 1조원"이라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는 전혀 사실과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전자 측은 "24일 웨이퍼 제작 과정에서 수십장의 불량이 나와 폐기한 적은 있지만, 이는 생산라인에서 흔히 있는 통상적인 수준"이라며 "(지라시는) 근거 없는 괴담"이라고 선을 그었다.

실제로 지난 2021년 미국 텍사스주의 폭설로 오스틴 파운드리 공장 가동이 중단됐을 당시에도 피해 규모는 웨이퍼 총 7만1천장 정도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20만장 폐기는 터무니없는 수치라는 것이다.

앞서 지난달에는 로이터통신이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전자의 고대역폭 메모리(HBM)가 발열과 전력 소비 등이 문제가 돼 미국 엔비디아의 테스트를 아직 통과하지 못했다고 보도하면서 당일 주가가 3% 넘게 떨어지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즉각 입장문을 내고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들과 HBM 공급을 위한 테스트를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적극 반박했으나 주가에 반영되지는 못했다.

이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이달 초 대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삼성전자의 HBM 인증 테스트 실패설에 대해 "아니다"라며 "(테스트가) 아직 끝나지 않았을 뿐이며,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이 같은 우려는 다소 해소된 상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연합뉴스
최태원 SK그룹 회장. 연합뉴스

최근 재계서열 2위 SK그룹과 관련한 지라시도 확산하고 있다.

최태원 회장의 '서든데스'(돌연사) 경고 이후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의 주도로 그룹 전반의 중복 사업 정리와 유동성 확보 등을 위한 작업이 진행 중이다.

다만, 아직 확정되지 않은 안이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와 지라시 등을 통해 확산되고 일부 언론에 보도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계열사간 합병 추진 소식이 전해지면서 구성원의 동요도 큰 상태다.

적자의 늪에 빠진 계열사 SK온을 살리기 위해 알짜 기업인 SK엔무브와 합병을 추진한다는 내용이 알려지며 SK엔무브 직원들이 크게 반발했다. 최근 SK온의 모회사인 SK이노베이션과 SK E&S간 합병 추진설을 놓고도 SK E&S 직원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SK E&S와의 합병 추진설이 보도된 SK이노베이션의 경우 당일 주가가 장중 한때 20% 넘게 급등하기도 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 연합뉴스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 연합뉴스

지난 14일에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의 건강 이상설이 퍼지면서 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현대모비스 등 일부 종목의 주가가 급등했다.

현대차그룹의 출자 구조는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로 이어지는데 현대모비스는 그룹 핵심 계열사인 현대차의 지분을 21.64% 보유하고 있어 지배구조상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장중 정 명예회장의 사망설이 유포되면서 주가 변동 폭이 커지자 이 같은 풍문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공시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