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라인야후, 네이버와의 네트워크 분리 2026년 3월로 앞당긴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본사 모습. 연합뉴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본사 모습. 연합뉴스

라인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사인 라인야후가 네이버와의 네트워크 분리 일정을 애초 계획보다 약 9개월 앞당길 것이라는 일본 현지 보도가 나왔다.

27일 일본 NHK 보도에 따르면, 라인야후는 올해 3월과 4월에 걸쳐 발생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문제로 인해 일본 정부로부터 두 차례의 행정지도를 받았다.

이에 따라 라인야후는 재발 방지책의 일환으로 네이버와의 네트워크 분리 계획을 수정했다.

라인야후는 원래 '인증 기반'이라는 명칭으로 네이버와의 네트워크 분리를 일본 내와 해외 자회사에서 순차적으로 진행해, 2026년 12월까지 완료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일본 총무성의 지속적인 행정지도에 따라 이를 앞당겨 2026년 3월까지 모든 분리를 완료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라인야후의 이데자와 다케시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8일 도쿄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라인야후는 네이버 클라우드와 종업원용 시스템의 인증 기반 분리를 2024년도 중으로 완료할 계획이다"라며 "자회사의 시스템 분리도 2026년도 중으로 계획했으나 이를 더욱 앞당길 예정"이라고 보안 강화 대책을 설명했다.

라인야후는 또한 일본 총무성이 요구한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 재검토 문제에 대해 네이버와 지속적으로 협의할 방침이다. 라인야후 주식의 약 65%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설립한 합작법인 A홀딩스가 보유하고 있으며, 소프트뱅크와 네이버는 각각 A홀딩스의 50%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라인야후는 일본 총무성이 요구한 시한인 내달 1일까지 재발 방지책을 보고할 계획이다.

라인야후는 지난해 한국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해 제3자가 불법적으로 접근해 개인 정보 51만여 건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일본 총무성은 올해 3월과 4월 라인야후에 사이버 보안 강화를 요구하는 행정지도를 두 차례 내렸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일본 정부가 라인야후 모기업인 네이버의 경영권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