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마다 전국적으로 산사태 피해가 막대한 만큼, 이에 대비한 행동 요령을 미리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림청 소속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선 최근 40년간 매년 약 400㏊(1㏊는 1만㎡) 규모의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매년 30여 명이 안타깝게 목숨을 잃고 있으며, 피해액은 약 350억 원에 달한다.
최근 기후변화로 산사태 주요 원인인 국지성 집중호우와 강도가 큰 강우가 갈수록 빈번해지고 있으며, 산지 주변 개발 및 훼손 면적도 늘고 있어 향후 산사태 피해는 더욱더 증가할 전망이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산림청이 강조하는 "산사태, 막을 수 없지만 피할 순 있다"는 구호처럼, 사전 대비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우선, 산사태취약지역 등 산사태 위험이 있는 곳에 거주하는 주민은 미리 배수시설을 설치하거나 점검하고, 위험 요인을 발견하면 행정복지센터 등 행정기관에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 관련 신고는 소방서(119)나 중앙산림재난상황실(042-481-4119), 행정복지센터 등 행정기관 등에 가능하다. 비상사태 시 대피할 장소와 경로, 사용할 비상 연락 수단을 알아 두는 것도 잊어선 안 된다.
위험예보 발령의 경우, 우선 산사태 주의보에선 행정기관이 안내한 대피장소를 기억하며 간단한 생필품 등을 미리 준비한다. 집 주위 경사면에서 물이 솟는 등 산사태 전조 현상이 있는지 살피고,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대피한 뒤 산림청 등에 신고한다. 경보 단계로 격상되면 산사태 취약지역에 사는 주민은 미리 대피해야 하며, 이때 화재 등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와 전기를 차단해야 한다.
기상정보를 계속 확인하는 것도 중요한데, 산사태 관련 정보와 산사태 예보 및 경보 발령 현황 등은 '산사태정보시스템'이나 '스마트산림재해' 앱을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아 현재는 위험성이 느껴지지 않더라도, 행정기관의 대피 지시와 안내에 협조하는 태도 역시 중요하다.
경북 한 기초지자체의 산사태 업무 담당자는 "비가 100㎜ 이상 내린다는 예보에 따라 미리 대피를 시켰는데, 실제로는 그에 못 미치는 강수량을 기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반복될 경우 주민들이 대피 안내에 비협조적으로 돌아선다"며 "주민 안전을 위해 과잉대피를 할 수밖에 없는 만큼 대피 유도에 협조적으로 응해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기획탐사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