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처세대'는 크게 1960년대생을 의미한다. 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인 동시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로 불린다. 서글픈 현실을 반영한다.
60년대생은 850만명이다. 전체 인구의 16.4%에 달한다. 710만명인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보다 인구 규모가 더 크다. 내년부터 가장 빠른 1960년생을 시작으로 65세 이상인 법적 노인 연령에 접어든다.
◆이중부양에 월평균 164만원 지출
마처세대의 특징을 볼 수 있는 유의미한 통계가 최근 발표됐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이사장 김용익)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월 1960년대생(만 55~64세) 980명을 대상으로 웹·모바일 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응답자 10명 중 3명가량인 29%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와 함께 살고 있다고 답했다. 부모가 있는 경우 44%가 월평균 73만원의 용돈을 준다고 응답했다.
49%는 부모가 편찮아서 돌봄이 필요하다고 했고, 이 중 32%는 부모를 직접 돌보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중 4%는 자녀에게 월평균 88만원의 경제적 도움을 준다고 했다. 15%는 부모와 자녀 양쪽 모두를 부양하는 '이중부양'을 하며 월평균 164만원을 지출한다고 응답했다.
70%는 현재 수입을 목적으로 일하고 있다고 답했다. 일하는 경우 평균 2.3개의 일자리를 가지고 있다고 대답했다. 일을 하는 이유에 대해 "아직 더 일할 수 있는 나이라고 생각"(37%), "가계의 경제적 필요"(29%), "일하는 삶이 더 보람"(17%) 등을 들었다.
노후 책임을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89%가 본인이라고 답했지만, 62%만 현재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노후준비 방법(복수 응답)으로는 국민연금(80%)을 꼽는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퇴직 후 소득이 없지만 연금을 받지 못하는 '소득절벽'에 대해서는 81%가 "걱정된다"고 말했다.
자녀의 부양을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첫 세대인 만큼, 응답자들은 대부분 노년 돌봄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걱정했다.
응답자 3명 중 1명꼴인 30.2%는 스스로가 고독사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렇게 걱정하는 비율은 월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에게서 49.9%로 높았다.
임종을 원하는 곳으로 46%가 "내가 사는 집"을 택했지만, 실제로 그렇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의 비율은 30%로 낮았다.
◆마처세대 일자리 못 떠나
60년대생 등 고령층의 고된 일상은 취업 통계로도 확인된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20년 전인 2003년 185만6천명에 불과했지만 2013년 2월에는 273만4천명으로 늘었다.
지난해 2월에는 10년 전보다 2배 이상이 많은 570만명대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가 60대에 진입하면서 고령층 인구 자체가 급증한 영향도 컸지만 고령에도 일손을 놓지 못하는 마처세대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최근 청년층 고용 쇼크에도 60대 취업자수는 늘었다. 통계청이 지난 10일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층 취업자 수는 줄고 고령층이 노동시장을 이끌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4만9천명이 감소했다. 20개월 연속 하락했고 고용률도 46.6%로 전년보다 0.4%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60세 이상에선 취업자 수가 25만8천명 증가했다. 고용률은 47.4%. 전년 동월보다 0.3%포인트(p)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해 9월 펴낸 '소득과 자산으로 진단한 노인 빈곤과 정책 방향' 보고서는 소득을 이용해 계산한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국제적으로 최고 수준이다.
처분가능소득으로 계산한 노인 빈곤율은 2016년 43.6%에서 2021년 37.7%로 하락했지만 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이다. 2018년 기준 OECD 평균 노인 빈곤율은 13.1%인 데 반해, 우리나라는 43.4%였다.
전체 인구 빈곤율은 2016년 17.6%, 2021년 15.1%다. 노인 빈곤율과는 2016년 26.0%p, 2021년 22.6%p 차이가 난다. 통상 한 국가의 노인 빈곤율은 전체 인구 빈곤율에 비해 높지만 우리나라는 이례적으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에서 마처세대의 사회적 책임을 줄여줄 필요가 있다. 마처세대인 60년대생들의 부모인 80~90년대 초고령층에 맞춰 정부 차원에서 부양 시설, 보건 시스템 등 지원 프로그램을 확충해야 한다. 그래야 마처세대의 억울함(?)도 줄어들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이틀 연속 '소신 정치' 선언에…여당 중진들 '무모한 관종정치'
국가 위기에도 정쟁 골몰하는 野 대표, 한술 더뜨는 與 대표
비수도권 강타한 대출 규제…서울·수도권 집값 오를 동안 비수도권은 하락
[매일칼럼] 한동훈 방식은 필패한다
"김건희 특검법, 대통령 거부로 재표결 시 이탈표 더 늘 것" 박주민이 내다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