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대구지역 기업도 직간접적 영향을 받고 있다. 탄소중립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2024년 상반기 대구산업경제동향'에 따르면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해 '직접적인 규제품목에 해당'하거나 '간접적인 영향권 아래 있다'고 응답한 대구 기업의 비중은 45.1%로 집계됐다. 여기에 '주거래처 규체품목과 연관성이 높다'(9.8%)는 응답을 더하면 직간접적 영향을 받는 기업은 과반 이상인 54.9%에 달한다.
CBAM 규제와 연관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 가운데 철강, 알루미늄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각각 23.5%, 5.8%로 조사됐다. 해당 기업들은 자동차 부품으로 주로 활용되는 파이프류와 로터(회전체), 볼트류 등을 생산하고 있다.
반면 탄소규제 대응은 미비한 수준이다. 응답 기업의 36.9%는 탄소규제에 대해 '내부적인 현안으로 고려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밖에 애로사항으로 '설비도입을 위한 자금부족'(24.6%), '전문인력부족'(12.3%) 등이 뒤를 이었다.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대구지역 A사 관계자는 "수출 과정에서 공급자의 인증을 받기 위해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어려움이 있다. 인증 절차에 대응하는 데 시간도 더 많이 소요된다"고 했다.
유럽 소재 대기업에 건설자재를 납품하는 대구 국가산업단지 입주 기업 B사 관계자는 "CBAM 조건을 충족하는지 검증하는 데 2년이 걸렸다. 서류를 제출하고 현장 실사를 진행하는 등 절차가 까다로운 편이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부담이 크다"고 했다.
대구상공회의소는 지난 2022년부터 '대구지역 ESG 경영 컨설팅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올해 'ESG 전문가 1대1 상담'을 시작하는 등 지역 기업의 환경규제 대응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탄소중립 관련 규제가 대기업은 물론 주요 협력사까지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최근 관련 상담도 늘었다. 제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관리하는 차원으로, 직접 수출이 아닌 간접 수출도 영향권에 들어간다. 지역 주력 산업인 차부품사에 이를 요구하는 사례도 증가하는 추세"라며 "지역 기업이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관련 지원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유럽연합(EU)이 탄소집약적 제품(철강·시멘트·알루미늄·비료·전력·수소) 수입 시 생산과정에서 배출된 탄소량에 따라 일종의 관세를 부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