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의사 국가시험(국시)에 응시한 인원이 전체 대상의 11% 수준인 364명으로 집계돼 향후 의료현장 인력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의대 4학년생 경우 전체의 5%(159명)만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같은 상황을 대응하기 위해 의료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도록 의료개혁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26일 의사 국가시험 실기시험 접수를 마감한 결과, 접수인원은 총 364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의사 국시에는 당해년도 졸업 예정자 3천여 명과 기존 졸업자 중 면허를 취득하지 못한 사람, 외국 대학 졸업자 등 200여 명 등 3천200여 명이 응시한다. 이를 고려하면 올해 지원자는 전체의 11%를 약간 넘는 수준이다.
특히 의대생 중에서는 전체 5%에 불과한 159명만 원서를 냈다.
의대생들 대다수가 국시를 거부하면서 내년도 국내 신규 의사 배출에 비상이 걸리게 됐다. 매년 3천여 명이 신규 의사가 나왔는데 내년엔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
신규 의사 수 급감으로 의료 공백이 심화될 전망이다.
전공의(인턴·레지던트), 전문의 등 줄줄이 의료인력 배출에 차질이 생긴다. 군의관과 공중보건의 인력 수급도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의대생들의 이같은 움직임을 예상하고, 의대생, 전공의 관련 이슈에 일일이 대응하기보다는 앞으로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한다. 또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통한 의료 현실 개선에 역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전공의보다 숙련된 의료인력을 중심으로 운영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구조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르면 9월부터 시범사업이 실시된다.
전공의 빈 자리를 전문의와 진료지원(PA) 간호사 등 숙련된 인력으로 채울 예정이다. 간호사법을 개정해 전공의 공백을 메워 온 PA 간호사 업무 범위를 법제화하고 현재 1만 여 명인 인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상급종합병원이 중증 진료에 집중할수록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보상 체계를 개편하고 일반병실을 최대 15% 줄일 예정이다.
중·소형 병원 이용 환자가 병상 악화로 상급종합병원으로 이송 시 대기 없이 환자를 받을 수 있도록 협력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