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성장 잠재력이 큰 100개 중소기업을 발굴해 중견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3년간 금융, 연구개발(R&D) 등을 밀착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7일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도약(Jump-Up) 프로그램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민간의 역량·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기업 선발 단계부터 성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까지 투자사, 연구기관, 컨설팅사, 자문기관 등 다수의 전문 민간기관과 협력하는 것이 특징이다. 선발된 기업은 3년간 맞춤형으로 밀착지원을 받을 수 있다.
우선 정책금융기관의 인공지능(AI) 기업분석 모형과 투자자, 기술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민관합동평가단의 현장실사를 통해 기술성·혁신성 등을 보유하고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중소기업을 1차 선발한다. 이어 학계, 벤처캐피털(VC) 등 투자자, 경영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혁신역량 평가위원회'를 통해 기업별 성장전략 발표와 심층 토론을 거쳐 평가위원 전원 합의 방식으로 100개사를 최종 선발한다.
선발된 중소기업의 성공적 스케일업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도 도입한다. 전용 프로그램은 ▷디렉팅 ▷오픈바우처 ▷네트워킹 등 3가지로 구성했다.
디렉팅은 경영·전략·기술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원팀이 돼 경영 멘토링과 스케일업 전략수립, 기술개발 전략수립·자문 등을 기업별로 전담해 지원한다. 이를 통해 수립된 스케일업 전략을 실현하고 신사업·신시장 진출을 위한 사업화를 과감하게 시도할 수 있도록 매년 2억원, 최대 3년간 7억5천만원의 오픈바우처를 기업별로 발급한다.
오픈바우처는 인건비 등 경비성 지출 등을 제외하고 인증, 지적재산권 획득, 마케팅 등 용도와 활용처를 넓게 인정해 기업의 자율성을 최대한 부여하는 방향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여기에 국내외 글로벌 투자자, 외국 진출 전문가 등과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금융·수출·R&D 등 정책 패키지도 마련했다. 스케일업 자금을 저리·장기로 확보할 수 있도록 융자범위·대출 기간 등을 과감하게 완화하는 한편, 산업·기업은행 등이 우대금리로 대출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최대 200억원 한도 특례보증도 지원한다. 단독으로 회사채 발행이 어려운 기업을 위해 정책금융기관이 운용하는 채권담보부증권(P-CBO)을 연계 지원한다.
기술개발 전략을 실제 R&D와 연결할 수 있도록 구조혁신 R&D를 지원하고 상용화·고도화를 위해 스케일업 팁스, 수출지향형 R&D 등 다양한 R&D 사업을 연계 지원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도약 프로그램은 일방향적인 지원에 그치지 않고 기업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소통과 밀착지원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