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건군절(인민군 창건일)을 기념해 지난 7일 딸 김주애와 함께 장병 숙소를 방문한 가운데, 태영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은 9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딸 김주애가 후계자라는 주장에 대해 "공식 내정 단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북한 외교관 출신이자 제21대 국회의원을 지낸 태 사무처장은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후계자로 내정되려면 성인이 돼야 하는데 (김주애는) 갈 길이 멀다"며 이같이 말했다.
태 사무처장은 "일단 김정은은 4대(세습)로 간다고 그러는데, 김주애냐 아니냐에 대해서는 확정하지 않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우선 북한 주민 사이에서 김정은 딸 이름이 '김주애'냐 아니면 '김주예'냐를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며 "후계자로 내정됐으면 북한 당국이 이를 잠재워야 하지 않는가, 적어도 한 번 정도는 북한 당국이 '김정은 동지의 자제분이신 이름 땡땡땡'라고 해야 하는데 아직 이름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라는 점을 들었다.
김 위원장의 딸이 '김주애'로 알려지게 된 건 지난 2013년 2월 북한을 방문하고 돌아온 NBA(미국 프로농구) 데니스 로드먼이 "김정은과 리설주가 이름이 '김주애'라는 딸 자랑을 하더라"고 한 데서 기인한다. 이후 국제사회는 김 위원장의 딸 이름을 '김주애'로 칭하고 있다.
태 사무처장은 또 "'그래도 어떻게 딸이'라는 이야기도 있다"며 "북한이 이것을 잠재우려면 '딸도 할 수 있다'며 김주애에 대한 우상화 선전을 시작해야 하는데 안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정은도 이런 소문이 돈다는 걸 다 알지만 지금 가만히 있다"면서 "아직 미성년자이고, 후계자로 공식 내정되려면 성인이 되어야 하는 등 갈 길이 멀기 때문인 것 같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김정은도 4대까지 갈 생각이지만 김주애냐 아니냐에 대해선 아직 확정하지 않은 것 같다"고 했다.
'김주애 후계자설'은 최근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를 고모인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깍듯하게 맞이하는 모습이 공개되며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지난 5일 조선중앙통신은 평양에서 진행된 신형 전술탄도미사일 발사대 인계 인수식의 김 위원장 참석 소식을 보도하면서 김주애의 모습도 함께 전한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