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일할 의욕조차 잃은 청년 44만 명, 대책은 있나

한 사회의 활력도를 보여 주는 지표 중 하나가 청년층의 경제활동 참여율, 즉 취업률이다. 그런데 취업률은 외부 환경에 따라 부침(浮沈)을 거듭할 수 있다. 경기 침체기엔 실업률도 높아지고, 특히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청년층의 취업시장이 얼어붙는다. 그렇더라도 취업 열기가 뜨겁다면 경기 회복 징후(徵候)만 보여도 실업률은 낮아진다. 문제는 취업 의지다. 일할 의욕조차 잃은 청년층(15~29세) 인구가 7월에 무려 44만 명을 넘어섰다. 동월 기준 역대 최대치다. '쉬었음'은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장애가 없지만 막연히 쉬고 싶은 상태인 사람들이다. 전체 청년층 815만 명 중 쉬었음 청년이 44만3천 명을 차지했다. 100명 중 5.4명꼴이다.

특히 쉬었음 청년 44만3천 명 중 33만5천 명(75.6%)은 아예 구직 의사가 없다. 훨씬 심각한 문제다. 임금 수준이나 근로조건에 맞는 일자리가 없거나, 구직활동을 했지만 일거리가 없다는 이유가 대부분이다. 기성세대의 눈에 배부른 푸념처럼 보이지만 이들은 포기를 택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구직활동엔 상상 이상의 돈이 든다. 밥값, 교통비, 교재비, 학원비, 시험비, 스터디카페 이용비 등. 기약 없는 준비 기간과 수없는 좌절(挫折)이 기다린다. '경력직 우대'라는 채용 조건은 '네 자리는 없다'는 선언이다. 인내를 모르는 나약한 세대라고 비난할 수 없다. 가까스로 취업에 성공해도 끝없는 비교 대상이 되고, 무능한 존재로 스스로를 낙인찍는 수모(受侮)마저 감수해야 한다.

정부가 지난해 11월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 발표에 이어 지난 5월 '사회 이동성 개선 방안'을 통해 대책을 내놨지만 반응은 회의적이다. 빈부 격차보다 심각한 일자리 양극화를 해결해야 한다. 청년 일자리 문제를 바라보는 기성세대의 시선도 바뀌어야 한다. 3차 산업 맞춤형 교육을 받은 청년들에게 4차 산업혁명은 넘어설 수 없는 벽처럼 느껴진다. 여론 무마용 임시 방편이 아니라 대변혁에 버금가는 대책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