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경원 시의원 "수성못 개발 제한 요인 해결책 마련 촉구"

국제적인 관광명소 조성, 대구시·수성구청 농어촌공사와 협의가 선행돼야

전경원 대구시의원
전경원 대구시의원

대구 수성못의 국제적 관광명소화 사업 추진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대구시와 수성구, 한국농어촌공사가 '3자 협의체'를 구성해 개발 제한 요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구시와 수성구는 수성못의 뛰어난 경관을 토대로 국제적 수준의 수상공연장, 수성못과 들안길을 연결하는 수성브리지를 건설, 대구를 대표하는 관광 랜드마크로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8일 전경원 대구시의회 의원(수성구4)에 따르면 수상공연장은 당초 90억원에서 300억원, 수성브리지는 75억원에서 150억원으로 285억원이 증액돼 모두 45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하지만, 2023년 4월 대구시와 수성구, 농어촌공사 간 부당이득 반환 청구 소송 결과에 따른 수성못 사용료와 재산세 등의 부과 문제로 현재까지 대구시와 수성구는 농어촌공사로부터 수상공연장과 수성브리지 건설의 선결조건인 농업생산기반시설 사용허가에 대한 어떠한 확답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 의원은 "농어촌공사는 기능을 상실한 농업생산기반시설인 수성못에 대한 용도 폐지를 고려하고 있으며, 만일 수성못을 용도 폐지한 후 안전관리상의 이유로 약 70만톤에 달하는 수성못의 담수를 빼버린다고 해도 대구시와 수성구는 손쓸 방법조차 없는 상황"이라며 우려를 전했다.

전 의원은 "대구시와 수성구는 농어촌공사가 사용허가에 무조건 협조할 것이라고 희망찬 기대에 부풀어, 안일하게 기대만 하고 있다가는 결국 물 빠진 '수성 웅덩이'로 돌아올 것이다"며 "대구시와 수성구, 농어촌공사는 '3자 협의체'를 구성, 수성못 사용허가 등에 얽힌 문제를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29일 열리는 대구시의회 제311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이같은 우려를 전하며 수성못 개발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제안할 예정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