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슬기를 채취해서 가공하는 현장을 찾아간다. 해가 지기 시작하면 다슬기 채취 작업이 시작된다. 야행성인 다슬기는 낮에는 돌 밑에 숨어있어서 본격적인 작업은 해가 지고 나서야 시작된다. 배를 타고 수심 2~3m 정도의 강으로 들어가, 그물을 내리고 끌어내는데 이 작업이 만만치 않다. 절벽에서 떨어진 낙석이 많아서 그물이 찢어질 수 있다. 잡은 후에도 1.5cm 이하의 다슬기는 일일이 골라 방생을 해줘야 한다.
힘들게 잡은 다슬기는 공장으로 가져와 바로 가공을 시작한다. 예전에는 하나부터 열까지 다 수작업이었지만, 이제는 세척기와 선별기를 맞춤 제작했다. 하지만 기계로 바꿀 수 없는 단 한 가지가 있는데 바로 다슬기의 껍데기를 벗기는 작업. 직접 제작한 바늘을 이용해 하나씩 빼내지만 3~4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다 보면, 손목부터 눈, 허리까지 안 아픈 곳이 없다. 추억의 맛인 다슬기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을 소개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