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석 달째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경상수지는 91억3천만달러(약 12조1천9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앞서 4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1년 만에 적자(-2억9천만달러)를 기록했다가 5월(+89억2천만달러) 반등한 뒤 6월(+125억6천만달러)에 이어 3개월 연속 흑자다.
하지만 흑자 규모는 6년 9개월 내 최대였던 6월보다 34억달러 이상 줄었다. 다만 해마다 같은 7월만 비교할 경우 2015년 7월(+93억7천만달러) 이후 가장 큰 흑자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1∼7월 누적 경상수지는 471억7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52억6천만달러)과 비교해 419억1천만달러나 많다.
7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84억9천만달러)가 작년 4월 이후 16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흑자 폭은 6월(+117억4천만달러)보다 작았지만, 작년 7월(+44억3천만달러)보다는 컸다.
수출(586억3천만달러)이 1년 전보다 16.7% 늘었다. 앞서 지난해 10월 1년 2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반등한 뒤 열 달째 증가세가 이어졌다.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50.1%)·정보통신기기(29.8%)·석유제품(16.8%)·기계류 및 정밀기기(14.3%)가 늘었고, 지역별로는 동남아(27.4%)·중국(14.9%)·일본(10.0%)·미국(9.3%) 등으로의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반대로 승용차(-8.9%) 등은 뒷걸음쳤다.
수입(501.4억달러) 역시 9.4%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기준으로 3개월 만의 반등이다.
석유제품(37.9%)·천연가스(23.5%)·원유(16.1%) 등 원자재 수입이 9.5%, 수송장비(121.1%)·반도체(16.3%)·정밀기기(15.2%) 등 자본재 수입이 11.9% 각각 늘었다. 승용차(58.3%)·가전제품(15.5%)를 비롯한 소비재 수입도 10.7% 불었다.
서비스수지의 경우 23억8천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1년 전(-25억7천만달러)과 비슷하지만, 한 달 전(-16억달러)보다는 커졌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특히 여행수지가 12억6천만달러 적자였다. 내국인의 해외여행 증가로 적자 폭이 6월(-9억달러)보다 확대됐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7월 중 110억3천만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43억3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29억9천만달러 각각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101억1천만달러 불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도 39억2천만달러 확대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