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登載)된 '가야고분군'의 통합관리기구 입지 선정을 둘러싸고 지방자치단체 간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고분군이 소재한 7개 자치단체가 설립한 통합관리지원단이 최근 자의적 선정 지표로 용역을 진행해 경남 김해시가 통합관리기구 최적지란 결과를 발표하면서 큰 반발을 사고 있다. 이 때문에 입지 결정권을 지닌 국가유산청이 나서 객관적인 입지 평가를 거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가야고분군은 경북 고령 지산동고분군을 비롯해 경남 김해, 합천, 함안, 창녕, 고성, 전북 남원 등 7곳에 분포(分布)하고 있다. 가야고분군은 모두 1천220개 무덤(墳)으로, 이 중 704기(基)가 고령에 있고, 김해에 170기가 있다. 고령군은 전체 고분의 57%가 분포하고, 고분 전체 면적의 44%를 차지하고 있다. 김해는 전기 가야의 대표 격인 금관가야, 고령은 후기 가야를 대변하는 대가야다. 함안은 아라가야, 창녕은 비화가야, 고성은 소가야로 구분되고, 합천과 남원은 대가야 권역에 속한다. 통합관리지원단의 용역을 맡은 (재)한국지식산업연구원은 이 같은 가야고분의 역사문화적 가치, 보존성 등에 대한 지표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현재 인구, 지방세 규모, 지역총생산, 재정자립도 등을 지표(指標)로 삼아 7개 지자체의 입지 순위를 매긴 것이다.
세계유산이란 역사문화적 가치와 고분군의 보존성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현 지자체 규모 평가에 다름 아니다. 가야 세력의 규모나 고분 수, 유물(遺物)의 양과 질 등을 감안할 때 가야고분군 통합관리기구는 고령에 설치해야 마땅하다.
댓글 많은 뉴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이재명 대권가도 꽃길? 가시밭길?…대법원 재판 속도전 의견 분분
文뇌물죄 기소에 "부동산 정책 실패하고 사위엔 특혜?" 국힘 일갈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이재명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